4·11총선 투표율이 얼마나 될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역대 선거 결과가 입증하듯 투표율이 선거 승패를 가를 주요 변수 중 하나로 꼽히고 있다.
일반적으로 투표율이 높으면 높을수록 진보 진영에 유리할 것이라는 분석이 많다.
실제 투표율이 60.6%에 달했던 17대 총선에선 민주당 전신인 열린우리당이, 46.1%에 그쳤던 18대 총선에선 새누리당 전신인 한나라당이 각각 과반 의석을 확보하며 승리했다.
이 때문에 투표율이 55%를 넘으면 민주당에, 그 이하면 새누리당에 유리하지 않겠느냐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전체적으로 ‘50%대 중반’ 투표율을 점치는 관측이 많은 가운데 일각에선 투표율이 60% 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 같은 전망은 선거 막판에 터진 국무총리실의 민간인 불법사찰 논란과 민주당 김용민 후보의 과거 막말·저질발언 파문을 놓고 여야가 연일 충돌하면서 양측 지지층이 급속히 결집하는 현상과 무관치 않다.
이번 총선에선 2030세대 등 젊은 층의 투표 참여율도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 대학교 부재자 투표소만 보더라도 지난 18대 때는 3곳에 그쳤으나 이번에는 무려 29곳으로 늘었다.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의 위력도 투표율 제고에 한몫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10·26 재보선 등을 통해 이미 SNS의 투표율 제고 위력이 입증된 가운데 이번에도 상당한 영향력을 발휘할 것이라는 게 중론이다.
이미 트위터 상에선 진보진영 인사들을 중심으로 투표율 60%, 70% 달성하기 이벤트가 진행중이다. 이밖에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여전히 20%대 중반에 달하는 부동층의 향배와 선거 당일의 날씨도 투표율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