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1총선이 이틀 앞으로 다가왔지만, 수도권 판세가 예측하기 힘든 피말리는 접전을 이어가고 있다.
여야는 1천∼3천표 차의 접전지역이 줄어들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고 엄살을 떨고 있다.
수도권 112곳 가운데 50∼70여곳이 초박빙 지역으로 분류될 정도다.
‘불법사찰’로 정권심판론이 정점을 찍던 며칠 전까지만 해도 민주통합당이 10∼20석차의 완승을 거둘 것이라는 예측이 많았다.
하지만 여론조사 공표가 금지된 5일 이후 상황은 말 그대로 대혼전이다.
‘나꼼수’ 출신 민주당 김용민 후보의 막말·저질발언 파문이 덮치면서 판세는 안갯속으로 빠져들었다.
민주통합당이 이기더라도 5석 미만의 신승을 거둘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
새누리당의 ‘역전’마저 거론되기 시작했다. 단독 과반(150석) 정당의 출현은 거의 힘들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1당은 135∼140석에서 나올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들이다.
이 때문에 투표율과 부동층의 향배, 5%의 숨은 표 위력 등을 승부를 좌우할 변수로 꼽고 있다.
이처럼 유례없는 접전이 펼쳐지는 것은 18대 총선때와는 달리 일방적인 ‘정권심판론’이 먹혀들지 않고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이는 대체로 4년마다 열리는 총선의 가장 큰 테마가 ‘정권심판론’임을 감안하면 민주당으로서는 이를 부각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얘기이다.
대선을 8개월 앞두고 열리는 시기의 특수성도 초박빙 접전양상의 큰 요인으로 풀이된다. ‘대선 전초전’으로 인식되면서 진보와 보수진영의 강력한 결집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다. 50대50의 피말리는 싸움이 전개되는 까닭이다.
여야는 결국 이번 총선을 ‘수도권 승부’로 보고 있다. 총 유권자 3천890만명(2010년 기준)의 49%인 1천900만명이 모여있는 승부처다.
지역구 246곳 중 45.5%인 112곳이 수도권에 있다. 수도권에서 7대3 정도의 완승을 거두지 않고 1당을 장담하기 힘든 형국이다. 여야는 수도권 의석 전망에는 함구하고 있다.
다만 탄핵역풍이 불었던 17대 총선과 이명박 대통령의 당선 직후 치러진 18대 총선처럼 압도적 쏠림현상은 없을 것이라는데 대체로 의견이 일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