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통합당이 4·11총선 패배에 따른 후임 지도부 구성 및 당 운영방식을 놓고 계파간 견해가 맞서는 등 총선 후유증으로 내홍을 겪고 있다.
비상대책위 체제와 관리형 ‘문성근 대행체제’가 충돌하면서 14일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결론을 내지 못한데 이어 15일 밤 다시 최고위원회의를 갖고 지도체제 및 임시 전당대회 일정, 원내대표 선출일정 등을 논의했다.
문 대행 등 친노(친노무현)측 등은 당헌·당규에 따라 문 대행 체제로 다음 지도부를 선출할 임시전국대의원대회(임시전대)를 준비하자는 입장인 반면, 박지원 최고위원 등 일부는 지도부 일괄사퇴 후 비대위 구성을 요구하고 있다.
현행 당헌 25조는 대표 궐위시 2개월 이내에 임시전대를 열어 당 대표와 최고위원 등 지도부를 선출하도록 돼 있다.
또 당대표가 선출될 때까지는 선출직 최고위원 중 다수득표자, 원내대표 순으로 대표 직무를 대행하도록 하고 있다.
당내에서는 대선주자를 8월 이전에는 정해야 하는 만큼 다음달 말이나 6월초에는 임시전대를 소집해 차기 지도부를 선출해야 한다는 의견이 힘을 얻고 있다.
박지원 최고위원은 이날 “총선 실패에 책임지고 반성할 사람들이 차기 지도부 선출 때까지 두달간 국민 앞에 나서면 국민이 감동을 받겠느냐”며 “당 지도부가 모두 물러나고 비대위를 구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반면 문 대행 찬성측은 “당헌에 따라 대행 체제로 가는 것이 당연한 수순”이라며 “문 대행과 최고위원들이 다음 지도부를 선출할 때까지 당을 관리하면 되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총선 공천 탈락자들을 중심으로 한 30여명의 당원들은 이날 ‘뜻을 함께하는 사람들’ 명의의 성명을 내고 “국민이 민주당에 바라는 것은 여전히 혁신”이라며 현 지도부를 배제한 임시지도부 구성을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