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 지사는 22일 대선 공식 출마를 선언했다. 하지만 김 지사가 경선을 통과하기 위해선 극복해야할 과제가 첩첩산중이라는 게 정치권의 지배적 시각이다.
당장 경기도정의 공백 등 적지않은 타격이 우려되고 있다.
김 지사의 사퇴 이후 행정부지사 대행체제로 운영되겠지만, 급속한 도정 운영의 ‘무주공산’격의 동력 상실로 인한 현안 타개에 난관을 예고하고 있다.
역점적으로 추진해온 GTX(수도권광역급행철도) 등도 자칫 추동력 약화가 우려되고 있다. 여소야대 도의회의 마지막 버팀목 상실로 인한 여야 갈등과 정책 추진에도 주도권이 사실상 야당 도의회로 넘겨질 태세다.
■ 낮은 지지율 ‘발등의 불’= 우선 무엇보다 김 지사는 여권의 가장 유력한 대권주자인 박근혜 전 비대위원장 뿐만 아니라 경쟁자인 정몽준 전 대표와 비교해도 지지율이 낮다는 점이다.
특히 새누리당이 총선에서 승리한 이후 박 위원장의 ‘대세론’이 재점화할 정도로 여권을 장악한 상황이기 때문에 그의 지지율이 오르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실제로 총선 직후 리얼미터의 조사(4월12∼13일 전국 성인남녀 1천500명 대상)에 따르면 다자구도에서도 박 위원장은 42.5%의 압도적 지지율을 기록했다.
반면 여권내 경쟁자인 정몽준 의원은 1.8%, 김문수 지사는 1.5%에 각각 그쳤다.
■ ‘완전국민경선제’ 친박계 부정적= 김 지사는 대선 출마를 선언하면서 ‘완전국민경선제’(오픈프라이머리)를 공개 요구했다.
완전국민경선제는 말 그대로 민심을 제대로 반영하기 위해 전 국민을 상대로 새누리당 대선 후보를 뽑자는 취지이다. 김 지사는 비박 잠룡인 정몽준 전 대표와 이재오 의원 역시 완전국민경선제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며, 이들은 최근 각각 개별접촉을 통해 이같은 인식에 공감대를 이룬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는 완전국민경선제를 도입하려면 전당대회를 통해 현행 경선 룰을 개정해야 한다는 데 있다. 실제 비박 대권주자들은 조만간 당 지도부에 이번 ‘5·15 전대’에서 경선 룰을 개정할 것을 요구할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키’를 쥐고 있는 친박계는 부정적이다.
지난 17대 대선 후보 경선 때도 아무런 문제가 없었던 데다 완전국민경선제를 할 경우 야당의 ‘역선택’ 등 부작용도 만만치 않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친박 핵심 인사는 “정치적 유불리를 따져 경선 룰을 고치자는 것은 말이 안 된다”고 일축했고, 다른 친박 인사도 “경선 룰 개정은 실현 가능성이 없다”고 잘라 말했다.
■ ‘수도권 대표론’도 걸림돌= 새누리당이 지난 총선에서 수도권에서 참패해 ‘수도권 대표론’에 친박계가 부상하고 되고 있는 점도 김 지사로서는 걸림돌로 작용될 소지가 많다.
실제로 친박계는 정몽준, 김문수, 이재오 등 비박 대선주자 3인방이 대권을 향한 3자 연대를 모색하고 활로를 찾으면서 모두 수도권 경쟁력을 전면에 내세우고 있어 이를 무시할 수 없는 상황이 조성되고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이에 따라 친박계와 가까운 경인지역 황우여·남경필·유정복 의원 가운데 수도권 대표가 나올 경우 김 지사와는견제 관계가 형성될 수 있다.
■ 경기도정 혼란 우려= 김 지사의 대선 출마 선언으로 지사직 사퇴로 인한 도정공백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김 지사 측근 사이에서도 사퇴시기와 관련해 혼선을 빚고 있는 상황이지만 사퇴가 기정사실화됨에 따라 김 지사가 민선 4기부터 민주당은 물론이고 정부와도 대립각을 세우며 역점 추진해 오던 사업들이 중단될 수 있다는 전망 때문이다.
특히 도의회는 물론 국회까지 여서야대 형국으로 바뀐 상황에서 김 지사 마저 도정을 비울 경우 복지 정책은 물론 대부분의 정책 결정권이 야당으로 넘어갈 공산이 크다는 셈법이다.
야당의 무상급식 확대를 위해 김 지사가 도지사 출마 당시 제안으로 시작된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 사업을 비롯해 뉴타운 사업, 김 지사의 역점적으로 추진한 현장행정 ‘민원전철 365’와 ‘찾아가는 도민안방’ 등 모두 중단·축소 수순이 불가피하다.
전시행정이라고 야당의 지적이 이어져 온 ‘보트쇼’와 ‘항공전’ 역시 풍전등화의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