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이한구 원내대표의 선출로 ‘박근혜 친정체제’를 구축한 가운데 국회직·당직 인선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특히 ‘수도권 대표론’을 앞세워 원내대표 경선에 도전했던 남경필(수원병) 의원이 석패한데 이어, 당권 도전에 나선 도내 중진의원들도 친이계 및 득표력 분산에다 황우여(인천 연수) 전 원내대표가 당 대표로 유력시되면서 상대적 불이익까지 겹쳐 중·하위권에 머무는 등 자칫 헛물만 켰다는 우려도 높아지고 있다.
당 안팎에서는 5·15전당대회에서 뽑히는 당 지도부, 19대 국회의장·부의장, 당 사무총장이 친박 또는 친박성향 인사로 채워질 가능성을 제기하면서 ‘친박 싹쓸이’에 대한 우려가 표출되고 있다.
이번 전대에서 당대표로 유력시되는 황 전 원내대표는 ‘박근혜 비대위’에 참여해오면서 친박에 가까워진 인사이다. 그가 당선된다면 당대표·원내대표의 ‘투톱’이 친박에게 돌아가는 셈이 된다.
전당대회가 끝나고 여야 원내대표단이 원구성 협상에 들어가면 국회의장과 부의장 선출이 가장 먼저 이뤄질 전망이다.
19대 전반기 국회의장으로는 한나라당 최고위원을 지낸 6선의 강창희 당선자(대선 중구)가 물망에 올라 있고, 정의화 현 국회의장 직무대행도 강한 의지를 보이고 있다.
이 때문에 12월 대선 실무를 총괄할 새누리당 사무총장에 도내 의원이 발탁될 수 있을지 관심을 끌고 있다.
아직 하마평만 무성한 상태지만, 도내 의원으로는 유일하게 3선의 친박 핵심인 유정복(김포) 의원이 오르내리고 있다. 이한구 신임 원내대표가 대구·경북(TK) 출신인만큼 수도권을 염두에 둬야 한다는 차원 때문이다.
하지만 대선 관리나 부산·경남(PK)을 배려해야 한다는 취지에서 서병수(4선), 이주영(4선), 최경환(3선), 안홍준(3선) 의원의 발탁설도 나오고 있어 자칫 도내 의원들의 국회직·당직의 전멸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는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