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과 민주통합당이 19대 국회 원구성 문제를 놓고 ‘힘겨루기’에 들어갔다.
특히 이번 원구성 협상은 12월 대선 전략과 맞물려 여·야간 팽팽한 신경전이 예상된다.
당장 민주통합당은 상임위 증설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나선데 반해, 새누리당은 일고의 가치도 없다는 입장이 맞서고 있다.
이는 상임위원장 배분문제를 놓고는 여야간 밀고당기는 지루한 협상 줄다리기를 벌일 수밖에 없어 난항이 예상되면서 벌써부터 89일 만에 원구성 협상을 타결한 18대 국회의 전철을 밟는 것 아니냐는 우려를 낳고 있다.
문제는 18대 때와 달리 19대 국회는 여야간 의석수에 큰 차이가 없어 원구성이 더 늦어질 수도 있다는 비관적 전망도 제기되고 있다.
여야간 쟁점은 상임위 증설과 상임위원장 배분 문제다.
민주당은 피감기관이 많은 일부 상임위에 대해서는 합리적으로 조정할 필요성을 내놓고 있다.
구체적으로 밝히지는 않고 있지만 문방위(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 정무위(경제·비경제), 교과위(교육·과학기술), 외통위, 환노위 등을 검토 대상으로 보고 있다. 정부조직 개편을 감안해 해양수산위 신설 등 현재 16개 상임위에 5~6개 상임위를 추가해야 일하는 국회만들기에 부합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새누리당 이한구 원내대표는 16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일부에서는 국회의원의 수를 줄이라고 할 정도로 국회가 국민들로부터 신뢰를 못 받고 있는 상황”이라면서 “국민에게 부담이 더 많이 가는 상임위 증설은 현재로서는 고려할 수 없다”고 일축했다.
이같은 논란 속에 ‘상임위원장 배분을 염두에 둔 꼼수’라는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 또한 1개 상임위가 늘어날 경우 위원장 활동 및 회의 경비 등 비용으로 4년 동안 12억원이 추가되면서 ‘고비용 저효율 국회’에 대한 비난을 자초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내달 5일로 예정된 19대 국회 첫 본회의가 예정대로 열릴 수 있을지 주목된다.
원구성 협상에 진전이 없을 경우 첫 본회의도 연기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으며, 다음달 5일 본회의가 열려도 의장단을 구성하는 ‘원포인트’ 본회의가 될 공산이 크다.
현재 국회의장에는 6선의 새누리당 강창희 당선자가 우선 거론되면서 정의화 국회의장 직무대행이 후보군에 이름을 올려놓고 있다.
여당몫 부의장에는 4선의 이병석·이주영·정갑윤 의원이, 야당몫 부의장에는 5선의 이석현(안양 동안갑), 4선의 박병석 의원이 거론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