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통합당 박지원 비대위원장이 30일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언론사 파업해결을 촉구하고 있다. /연합뉴스
민주통합당은 30일 정치권 안팎에서 사퇴요구를 받고 있는 통합진보당 이석기·김재연 비례대표 의원에 대해 자진 사퇴를 요구했다.
또 새누리당을 탈당한 김형태 문대성 의원에 대해서도 사퇴를 촉구했다.
박지원 비대위원장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새누리당이 색깔론을 앞세워 정치공세를 하는 것은 옳지 않지만, 통합진보당의 두 의원은 민주적 절차에 따라 비례대표 경선이 이뤄지지 않았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두 분에 대한 법적 징계는 윤리위에서 할 수 있지만, 여기서는 임기 시작 이후 일어난 일을 제소해 다룰 수 있으므로 할 방법이 없다”며 “두 번째로 자격심사를 할 수 있는데 여기에 해당될 수 있다”고 말했다.
박 위원장은 “통합진보당이 비례대표 경선에서 부정이 있었다고 발표했으므로 윤리위 자격심사 항목(적법한 당선인)에 해당될 수 있다”며 “그러나 윤리위 심사를 거쳐 본회의에서 재적 3분의 2의 찬성을 얻는 절차를 거치려면 상당한 기일이 필요하므로 정치적으로 자진사퇴를 요구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지금 문제가 되는 김형태 문대성 의원도 같은 차원에서 자진 사퇴하는 게 19대 국회를 위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통합진보당 의원에 대한 국방위·외통위 등 특정 상임위 배제문제에 대해 “민주당이 또다시 (통합진보당을) 옹호하는 것처럼 정치적 발언을 하는 것은 국회법을 대단히 잘못 알고 있는 처사”라며 “비교섭단체 의원의 상임위 배정은 국회의장의 권한이라서 우리가 왈가왈부할 게 못 된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통합진보당은 신·구 당권파간 엇갈린 반응을 내놨다.
두 의원의 제명을 추진하고 있는 신당권파는 “이들에 대한 사퇴 결의를 이행하는 과정을 지켜봐 달라”며 흔들림 없는 야권연대를 다짐했지만, 두 의원이 속한 구당권파는 “여론재판의 정략적 희생자에 대한 부적절한 발언”이라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