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가 당초 합의에도 불구, 또다시 ‘지각 개원’으로 비판여론이 확산되는 가운데 원구성 협상을 놓고 지루한 줄다기리를 벌이고 있는 와중에 이명박 대통령의 내곡동 사저부지 고가매입 의혹과 민간인 불법사찰 의혹사건이 접점기류로 떠올라 돌파구를 찾게 될지 주목된다.
새누리당과 민주통합당의 원내지도부는 12일 이들 의혹사건을 놓고 표면적으로는 입장차를 드러내며 공방을 벌였지만 국정조사 및 특검에 대한 협상 가능성도 엿보이고 있다.
민주당은 두 사건에 대해 선 국정조사, 후 청문회를 요구하고 있다.
박지원 민주당 원내대표는 이날 원내대책회의에서 “빨리 원구성을 해서 내곡동 사저, 민간인 사찰 등에 대한 국정조사와 청문회를 해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반해 새누리당은 국정조사나 청문회에 대해 부정적 입장이지만 두 사건을 특검으로 풀겠다는 기본입장을 정리했다.
홍일표 원내대변인은 이날 “검찰 수사가 미흡할 경우 원칙적으로 특검이 적절한 방책이라는 것이 다른 사례에서도 대부분 적용된다”고 말했다.
하지만 민간인 사찰의혹은 국조 수용에 대한 내부 기류도 없지 않으면서 다소 신축적인 입장으로 돌아선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이명박 정부와 과거 정부가 ‘타깃’이 되는 민간인 사찰의혹 국조가 이뤄지더라도 박근혜 전 비대위원장이 중심이 된 현재의 당 지도부는 피해갈 수 있다는 셈법이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국회의장단 선출 일정과 원구성 협상에서는 여전히 여야가 평행선에 머물고 있다.
새누리당은 6월말∼7월초 국회의장단을 먼저 선출하고 8월 상임위 배분 등 원구성을 타결짓는 방안, 6월말∼7월초에 두 가지를 일괄 타결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