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이 당헌·당규상의 현행 경선 룰을 그대로 적용, 오는 8월20일 대선후보를 선출키로 한 당 경선관리위의 결정을 확정짓기로 하면서 비박주자들이 ‘경선 불참’을 거듭 재확인하고 나서 ‘경선 무산’의 가능성이 점증하고 있다.
이에 따라 25일 열리는 최고위원회의에서 경선 룰 및 일정 등을 최종 확정지을 예정이어서 갈등의 중대 분수령이 될 것으로 전망이다.
서병수 사무총장은 24일 “내일 최고위원회의에서 경선관리위의 결정사항을 논의, 확정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경선관리위는 이에 앞서 지난 20일 현행 경선 룰에 따라 8월19일 대선후보 선출 경선투표를 실시한 뒤 다음날인 20일 후보자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를 열기로 결정했다.
당 지도부와 친박계가 비박주자들의 반발을 감수하고 현행 경선 룰대로 밀고 나가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한 것이다.
이에 대해 비박주자들은 ‘경선 불참’ 가능성을 거듭 경고, 오픈프라이머리를 수용하도록 재차 촉구했다.
정몽준 전 대표는 24일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기자회견을 통해 ‘논의기구가 무산돼도 경선에 참여할 수 있느냐’는 질문에 “참여가 어렵다”고 일축했다.
정 전 대표는 “개혁과 쇄신을 하고 모든 기득권을 내려놓겠다고 해 놓고 총선이 끝나니까 입을 닫은 채 경선규칙은 옛 한나라당 것에서 한 자도 못 고치고 독립적인 논의기구도 둘 수 없다고 하는데 한마디로 상상할 수 없는 일”이라고 비판했다.
김문수 경기지사도 이날 기자회견에서 ‘완전국민경선제가 안되면 경선 불참’ 입장을 거듭 확인했다.
그는 “비박계 3인방이 요구하는 완전국민경선제는 김문수를 위한 게 아니라 박근혜 자신을 위한 것”이라며 “박근혜 전 비대위원장이 대한민국의 정치개혁과 선거혁명, 기득권자의 정치를 국민정치로 돌려 드리기 위한 ‘제2의 6·29선언’을 해달라”며 완전국민경선제 수용을 촉구했다.
이재오 의원도 전날 트위터를 통해 “완전국민경선제 관련 법안의 처리를 위한 ‘원포인트 개원’을 여야 지도부에 제안한다”면서 오픈프라이머리로의 룰 개정 없이는 경선에 참여할 수 없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이같은 ‘경선 무산’ 위기가 높아지면서 임태희 전 대통령실장은 ‘경선 룰’ 논란에 대해 “이제는 대리인이 아니라 주자들이 마주 앉아 논의할 때가 됐다”며 주자들 간 직접대화를 요구하는 나서 최고위원회 결정여부에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