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9 (토)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경기도내 교통카드 잔액 80억원 낮잠

경기도내에서 분실·훼손·소액잔액 등으로 3년 이상 사용되지 않은 선불형 교통카드의 충전잔액 80억원이나 낮잠을 자고 있다.

경기개발연구원 조응래 선임연구원은 ‘장기 미사용 교통카드 충전잔액 활용방안’을 통해 교통카드 미사용액에 대한 환불서비스와 함께 ‘대중교통 발전기금’으로 조성해야 한다고 25일 밝혔다.

도내 교통카드 이용현황을 보면 56%는 신용카드와 결합한 후불형 교통카드를, 44%는 선불형 교통카드를 각각 사용한다.

이 중 선불형 교통카드는 캐시비 카드(eB카드사 발행)와 T-머니 카드(한국스마트카드사 발행) 등이 있으며 경기·인천지역,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전체에서 주로 이용된다.

하지만 캐시비 카드를 발행하는 eB카드사의 경우 지난 5월말 기준 선불형 교통카드의 미사용 충전잔액이 417억원에 달하고 있으며, 이 중 80억원 가량이 3년 이상 사용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T-머니 카드의 경우 지난 2009년 기준 선불형 교통카드의 미사용 충전잔액이 719억원에 달한다.

조 선임연구원은 이같은 교통카드 미사용 잔액규모에 대해 경기도민들이 주로 사용하는 1개 카드만을 집계한 것으로 다른 선불형 교통카드 잔액까지 더할 경우 훨씬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교통카드 미집행 잔액은 기간에 관계없이 카드 발행사가 임의로 사용할 수 없으며 각 지자체에서도 잔액을 감독할 권한도 없다”며 “교통카드 이용객들에게 장기 미사용 충전잔액을 사용토록 홍보를 강화하고, 수도권 전철역 및 캐시비 충전소 등에서 충전잔액 환불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홍보활동 등에도 불구하고 사용되지 않는 충전잔액에 대해서는 ‘대중교통 발전기금’으로 조성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