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9 (토)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처리시설 준공 지연… “현실적 대안없는 실정”

오는 2013년 전면 금지되는 음폐수 해양투기를 6개월 이상 유예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경기개발연구원 이정임 선임연구원은 23일 ‘폐기물 해양배출 금지에 따른 대응방안’ 연구보고서를 통해 “수도권매립지 음폐수처리시설 준공 지연이 예정된 데다 75% 이상의 민간위탁업체가 공공처리시설을 희망하고 있어 현실적 대안이 없는 실정”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현재 도내의 해양배출 음폐수는 매일 약 921t이 발생하고 있다. 공공처리시설 발생 음폐수의 경우 하수연계 처리율 85%, 해양배출 처리율 4%로 큰 문제가 없지만 90.7%에 달하는 836t이 민간처리시설을 통해 매일 해양으로 배출되면서 처리체계 구축이 시급한 상태다.

이 연구원은 이에 따라 음폐수는 우선 하수처리시설을 활용하고 기존 공공 소각시설, 산업단지 폐수처리시설, 소각시설 활용을 추진해 민간처리시설이 밀집한 화성·용인·이천·양주 등에 음폐수 공동처리시설을 설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와 함께 하수슬러지 및 음폐수 광역단위 처리시설의 운영 개선책도 제시했다. 이 연구원은 “폐기물 해양배출 금지에 따른 육상처리 방안으로 광역처리시설 설치, 소각·하수 및 산업폐수 처리시설 등 환경기초시설 간 빅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