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계속되는 찜통더위로 폭염 피해자가 속출하자 폭염대책TF팀을 가동하고 무더위 쉼터 및 폭염 특수구급대를 운영키로 하는 등 ‘폭염대비 종합대책’을 마련했다.
도는 26일 이재율 경제부지사 주재로 긴급 폭염대책회의를 갖고 더위에 약한 65세 이상 노인과 학생·농민·건설근로자 등을 폭염취약계층으로 정하고 이들의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집중관리에 들어가기로 했다.
도는 우선 심경섭 도 비상기획관을 팀장으로 폭염대책TF팀을 구성, 폭염특보 발효시 비상근무에 들어가 폭염 취약계층에 대한 무더위 쉼터 이용홍보, 취약계층 방문 건강관리, 폭염시 행동요령 안내와 홍보 등을 총괄하도록 했다.
또 무더위에 취약한 독거노인과 취약계층을 위한 쉼터를 지정, 운영한다.
‘무더위 쉼터’는 평소 노인들이 자주 활용하고 쉽게 이동할 수 있는 일상 생활공간인 노인복지관과 경로당, 복지회관과 보건소, 읍면동사무소 등 관공서 및 종교·금융기관 등으로 현재 도내 5천743개소가 지정돼 있다.
이를 위해 시·군·구 재난부서와 사회복지 담당, 주민자치센터 공무원 등을 무더위 쉼터 관리책임자로 지정하고 주 1회 이상 유선점검과 폭염발생시 현장점검에 나서도록 했다.
이와 함께 폭염특보 발표시 오후 2시부터 5시까지 무더위 휴식시간제를 운영, 이 시간대 농사일이나 체육활동, 각종 행사 등을 자제하고 시원한 곳에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홍보를 통해 권고할 방침이다.
찜통더위로 가장 많은 인명피해를 내고 있는 독거노인을 위한 재난도우미 제도와 도 소방재난본부 폭염특수구급대를 운영한다.
도 관계자는 “폭염 특보가 발령되면 한낮 야외활동을 삼가고 탄산·알코올·카페인이 들어있는 음료 대신 물을 충분히 섭취하는 등 폭염대처 요령에 따라 행동하면 된다”며 “특히 주변에 혼자 생활하는 노약자, 장애인, 환자의 주거환경과 건강상태에 관심을 갖고 만약 응급환자가 발생하면 119나 1339로 연락한 후 구급차가 오기 전까지 환자를 서늘한 곳에 옮겨 체온을 내리는 게 중요하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