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제도적 뒷받침없이 급조된 긴급 폭염대책을 내놓으면서 도마 위에 올랐다.
긴급 대책에 따라 발생하는 농가 소득감소 및 추가 소요비용에 대한 지원 대책은 없이 생색만 내고 있다는 지적을 낳고 있다.
도는 최근 폭염으로 인한 열사병 등으로 닭과 오리 등 가금류 폐사가 급증하자 이에 대한 긴급대책을 추진한다고 9일 밝혔다.
긴급대책은 이날 현재 도내에서 사육되고 있는 가금류 3천584만여 수 중 0.61%인 22만여 마리가 폭염으로 폐사, 이같은 피해 확산을 막기 위한 고육책이다.
도는 우선 사육밀도를 낮추기 위해 단위 면적당 병아리 입식 마릿수를 1㎡당 20마리에서 16.5마리로 하향(17.5%) 조정키로 했다.
하지만 이 경우 농가에서는 비용을 들여 축사를 신·증축하거나 기존 대비 사육 마릿수가 줄어들어 당장 농가 수익이 감소하는데다 입식 감축에 따른 피해보상도 전무한 상태다.
안성시의 경우 관내 육계 45농가 평균 5만수를 사육, 이를 기준으로 면적당 병아리 입식 마릿수를 17.5% 줄이면 농가당 8천750수가 줄어들게 된다.
업계에서는 무창계사 신축 시 3.3㎡당 50만원 정도의 비용이 소요되고, 육계 1마리를 정상적으로 출하시킬 경우 500원 정도의 농가 수익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도는 또 다 자란 닭의 15%를 출하 예정일 5일전에 조기 출하키로 했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폭염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이미 지난달 말부터 이같은 조치를 취하고 있으며, 육계와 오리 농가의 90%가 각 기업과 계열화돼 있어 기업의 협조를 이끌어내야 한다.
도 관계자는 “긴급 대책은 상대적으로 고온에 약한 가금류의 폭염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라며 “도의 의지와 업계의 실정이 잘 맞아 관내 20여개 업체에 지속적으로 협조를 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도는 이날 가금류 보호대책의 일환으로 5천만원의 예산을 긴급 편성해 닭 사육농가에 비타민 C와 전해질제를 공급했으며 장기적으로 지하수로 축사를 냉각하는 수냉식 계사 등 시설 현대화 및 농가피해를 줄이기 위한 가축재해보험 가입을 추진키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