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30 (수)

  • 맑음동두천 24.3℃
  • 구름많음강릉 26.3℃
  • 구름조금서울 23.5℃
  • 맑음대전 24.9℃
  • 맑음대구 23.5℃
  • 맑음울산 24.1℃
  • 맑음광주 23.2℃
  • 맑음부산 19.5℃
  • 맑음고창 23.4℃
  • 구름많음제주 18.8℃
  • 구름조금강화 22.3℃
  • 맑음보은 24.4℃
  • 맑음금산 25.7℃
  • 맑음강진군 22.7℃
  • 맑음경주시 26.9℃
  • 맑음거제 21.1℃
기상청 제공

경기도, 팔당호 녹조 막을 신기술 개발

하수처리장서 인·질소 제거후 방류…특허 출원

경기도가 팔당호 녹조 생성을 원천적으로 막을 수 있는 새로운 공법을 개발, 특허 출원에 나섰다.

새로운 공법은 하수처리장에서 조류를 인공 배양한 뒤 녹조의 원인인 질소와 인을 제거하는 기술이다. 내년에 실용화 검증을 거쳐 2016년 상용화될 전망이다.

도는 발전소에서 나오는 배기가스(CO₂)를 이용해 미세조류를 배양, 팔당호 녹조를 원천적으로 막을 수 있는 공법을 개발해 특허 출원 중이라고 16일 밝혔다.

도보건환경연구원 수질연구부 강동한 연구사가 개발한 신공법은 하수처리장에서 인공 배양된 조류가 하수처리장으로 들어오는 생활하수와 축산폐수에 들어 있는 질소와 인을 먹게 하는 방식이다. 질소와 인은 녹조 생성의 주 원인으로 꼽힌다.

이 과정을 거처 팔당호로 흘러가는 물에 최대 95%까지 질소와 인을 제거하면 더이상 팔당호에 녹조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현재 도내에는 318개 하수처리장이 있으며, 이중 팔당호 인근 7개 시·군에 위치한 180개 하수처리장에서 처리된 물이 팔당호로 유입되고 있다.

강 연구사는 “녹조는 따뜻한 물, 햇빛, 영양분(질소와 인), 이산화탄소, 넓은 공간 등 5개 조건이 갖춰질 때만 자라는 특징이 있다”면서 “이중 인위적으로 질소와 인을 하수처리장에서 제거해 팔당호에서 녹조를 자라지 못하게 하는 것이 이번 공법의 핵심”이라고 설명했다.

실제 강 연구사가 수원 서호 하수처리장에서 용수를 채취해 미세조류 배양을 실험한 결과 인공 배양한 조류를 통과한 물의 질소양은 25㎎/ℓ에서 5㎎/ℓ로, 인의 양은 3㎎/ℓ에서 0.3㎎/ℓ로 각각 감소했다.

도는 원활한 조류 배양을 위해 발전소 등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하수처리장으로 유입시킬 계획이다.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