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 경기도지사가 돌아왔다. 한 달여 만이지만 사실상 지난 4월22일 대선출마 선언 이후 121일만의 도정업무 복귀다. ‘계란으로 바위를 치겠다’고 나섰던 새누리당의 대선 경선에서 예정대로(?) 패한 뒤 20일 오전 을지훈련의 통합방위협의회장으로 공식업무에 들어갔다.
김 지사는 이어 기자실을 방문, “이번 대선은 박근혜와 안철수의 싸움이고 승리를 예측할 수 없을 정도로 박빙”이라는 대선 전망을 내놨다.
김 지사는 또 이날 오후의 경선결과 발표를 앞둔 시점에서 “경선과정에서 박근혜 대세가 너무 탄탄해 경기도에서 보내주는 지지만으로는 한계가 있었다”고 패배를 인정하면서 “선거법상 도지사는 선거개입이 안 돼 새누리당을 직접 도울 방법이 없다”고 했다.
‘대선 경선후보 김문수’로 자리했다 돌아온 김 지사의 행보를 놓고 외형은 키웠지만 내실은 오히려 악화시켰다는 ‘출전평’을 낳고 있다.
안보와 경제, 민생을 주요 정책으로 내세워 인지도를 끌어올리고 박근혜 전 비대위원장의 저격수를 자처, 한때 이슈메이커로 떠오르기도 했던데다 두 자릿수 득표율에는 실패했지만 2위를 차지하면서 차차기에 대한 가능성에 접근한 점은 어쨌든 득이랄 수 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지사직 사퇴에 이은 경선참여 번복으로 식언 논란을 낳았고, 출마선언 이후 줄곳 2%대에 불과한 지지율의 재확인, 여진히 수사중인 선거법 의혹과 함께 도의회 특위까지 구성해 도정 공백을 앞세운 야당의 공세가 만만치 않게 기다리고 있다. 그동안 도정에 호흡을 같이해온 측근들의 재입성도 난제다.
여기에 도 청사의 광교신도시 이전 보류와 관련, 지난달 26일 김 지사를 사기혐의로 고소한 광교입주민협의회는 도지사직 사퇴를 요구하고 있다.
향후 녹록치 않은 도정 운영의 험로가 예상되면서 결국 실이 더 많았다는 평가가 우위를 차지하고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