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장과 경인여대 부교수를 놓고 ‘이중 행보’ 및 ‘자격 적격성’ 논란을 빚고 있는 박명순 원장이 대부분 관광 일정인 사적 해외출장 비용을 연구원의 직원교육비에서 사용한 것으로 드러나 ‘공금 횡령’ 의혹으로 확산되고 있다.
11일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에 따르면 박 원장은 지난달 17~19일 아트센터 나비에서 주최한 ‘문화와 경영포럼’에 기업인·금융계 인사 등 13명과 함께 참가했다. 이는 박 원장이 사적으로 수강해온 온라인교육프로그램의 뒤풀이 성격으로 이뤄져 일본 규슈여객철도㈜ 회장을 역임한 이시이 요시다카 선생과의 간담회와 한국계 일본 도예가인 심수관 옹과의 대담 및 이기동 교수의 일문문화 특강 등으로 진행됐다.
박 원장은 이 비용을 연구원의 복리후생비(직원교육비)에서 128만원을 지원받아 사용했다. 연구원은 이같은 비용 지원에 대해 CEO 인문학 과정의 일환으로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문화와 경영포럼의 일정을 보면 당초 목적과 달리 현지 가이드를 대동한 채 온천마을인 유후인과 다자이후 텐만궁, 구마모토, 카리시마 관광 등이 주를 이뤘다. 당초 목적인 이시이 선생과의 간담회(17일) 및 심수관 옹과의 대담(18일) 등은 관광 일정의 일부분에 지나지 않았다.
연구원의 공식 연구과제나 박 원장의 전공인 다문화 관련 내용도 아닌데다 사적인 관광성 외유임에도 불구, 연구원의 직원교육비인 공금으로 사용하면서 이같은 논란을 더해주고 있다.
연구원내 규정도 무시한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원은 공무국외여행의 경우 여행의 필요성, 방문국과 방문기관의 타당성, 여행경비의 적정성 등을 담은 계획서를 1개월 전에 교육경영지원실에 제출, 인사위원회 사전심사를 거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박 원장은 문화와 경영포럼 참여시 이 같은 과정을 생략, 지급기안만을 작성해 이뤄진 것으로 확인됐다.
이 때문에 공정한 직무수행을 해치는 지시 등의 처리와 함께 공용재산의 사적 사용·수익 금지를 규정한 연구원의 임직원 행동강령에도 어긋나는데다 공무국외여행에 따른 관련규정을 피하기 위해 국외출장경비 대신에 직원교육비를 사용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연구원의 한 관계자는 “연구원 규정상 해외연수를 위해서는 사전 계획서 제출 및 인사위원회 심의 이후 지급기안을 작성해 다녀올 수 있도록 돼있다”며 “모든 절차를 무시한 채 지급기안과 여행계획서만을 첨부한 것은 개인여행을 다녀온 꼴로 명백한 공금횡령”이라고 지적했다.
서 지난 6월 16~22일 980여만원을 들여 김성렬 행정1부지사와 시장·시의장 등 20여명과 함께 다녀온 독일 통일아카데미 출장 역시 인사위원회 심의를 거치지 않아 연구원의 관련규정 위반사실이 드러났었다.
이에 대해 연구원 관계자는 “교육프로그램 참여의 경우 해외출장 등과 차이가 있어 계획서 제출 및 인사위원회 심의 등을 거치지 않도록 운영하고 있다”며 “행정절차 상의 문제는 전혀 없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