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문 후보는 16일 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가 주최한 제18대 대선후보자 3차 TV토론회에서 등록금 폭등과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과의 관계, 국정원 선거개입 논란 등과 관련해 치열한 설전을 벌였다.
두 후보는 우선 ‘반값등록금’ 공약의 원인인 등록금 폭등을 놓고 설전을 벌였다.
박 후보는 “등록금 부담에 대해서 문 후보 주역이었던 참여정부에서 최대로 올려놓았다”며 “문 후보는 이렇게 엄청난 고통을 학부모들과 학생들에게 준 데 대해 사과부터 해야한다”고 참여정부의 책임론을 제기했다.
이에 대해 문 후보는 “보십시오. 제가 여러번 사과말씀 드렸고 그에 대한 반성 공약이 반값 등록금 아니냐”며 “박 후보는 이명박 정권 내내 민주당 요구, 학생들 촛불집회 요구를 다 묵살하지 않았나. 선거 때 오니까 등록금을 낮추겠다는 것이 아니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두 후보는 전교조 문제를 놓고도 맞붙었다.
박 후보가 먼저 “문 후보는 과거 전교조 해직교사들의 변호도 했고, 이번에 선거대책위원회에 전교조 출신 인사들도 요직에 참여시켰다”면서 “특히 전교조 출신인 이수호 서울시교육감 후보가 지난 8일 문 후보의 광화문 유세에서 지지를 호소했다”고 선공했다.
이에 대해 문 후보는“전교조와 관계를 갖는 게 특별한 문제가 되는 것이냐”며 “박 후보의 질문 취지는 전교조를 함께 해선 안 될 불순한 세력이라는 것 같다. 박 후보야말로 교육을 이념적으로 편 가르기 하는 것”이라고 맞불을 놨다.
최근 논란이 된 ‘국정원 여직원’ 사건에 대해서도 언쟁을 벌였다.
박 후보는 “국정원 여직원 사태에서 발생한 여성인권 침해에 대해서 한마디 말씀도 없으시고 사과도 안했다”라며 “민주당이 집주소를 알아내기 위해 고의로 성폭행범이나 하는 수법으로 차를 받았다”고 비판했다.
이어 “2박3일 동안 여직원을 사실상 감금했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느냐”며 “증거주의, 영장주의, 무죄 추정의 원칙 같은 기본적 원칙이 실종된 것”이라고 몰아붙였다.
이에 맞서 문 후보는 “그 사건은 수사중인 사건이다. 피의자 신분인 국정원 여직원을 변호하는 건가”라며 “이는 수사에 개입하는 것”이라고 대응했다.
또 “새누리당 국정홍보대책위원장 임명자가 운영한 사무실로 사실상 선대위가 운영한 불법선거 사무실이다”라며 “왜 거기에 대해선 (박 후보는)한 마디 인정도 안 하고 사과도 안 하느냐”고 반격하는 등 토론회 내내 날카롭게 맞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