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비무장지대(DMZ) 설치 및 정전 60주년 기념행사의 유치 경쟁에 나선 경기도가 행사 유치를 위한 도의회와의 ‘찰떡 공조’ 속에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면서 청신호가 켜졌다.
도와 강원도가 국무총리실 주관으로 반기문 UN사무총장과 6·25참전 22개국 대표, 한국전쟁 참전용사 등이 참석하는 국제행사인 ‘정전 60주년 기념행사’ 유치전에 뛰어들으나, 강원도가 예산 삭감으로 발목 잡혀 난관에 봉착했기 때문이다.
17일 도와 강원도에 따르면 내년에 정전·DMZ 설치 60주년을 맞아 ‘정전 60주년 기념행사’ 유치경쟁을 벌이고 있는 상태다.
도는 DMZ 일대를 안보관광 자원으로 활용한다는 계획을 마련, 국제학술심포지엄 개최 및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 지정 등 DMZ세계화 7개 사업을 비롯해 임진각 통합누리 통합개발 및 도라전망대 이전신축 등 9개 안보관광자원화 사업, 남북교류협력기금을 활용해 DMZ 남북공동조사 및 임진각~개성간 평화통일마라톤 개최, DMZ평화콘서트 등 총 182억원 규모의 예산을 편성하고 별도의 사업추진단도 꾸렸다.
역시 유치 경쟁 중인 강원도는 당초 60여억원의 예산 편성을 계획하다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의 본격 예산투입으로 인해 절반 규모로 줄여 도의회에 제출했다.
그러나 강원도의회가 ‘반토막’ 예산으로 편성한 30억원마저 일회성 기념사업보다 소득화와 관광자원화 위주로 추진하도록 9억5천만원만 남긴 채 20억5천만원을 삭감했다. 다만 강원도의회의 요구가 받아들여져 사업 재검토와 구체적인 내용이 적시가 될 경우 추경 때 사업예산을 세워준다는 단서를 달았다.
반면 도는 상임위 예산심의를 통해 가운도와 대조적으로 7억여원을 증액, DMZ 60주년 사업도 순풍을 타는 등 도-도의회간 ‘찰떡 공조’로 DMZ기념행사 개최에 한발 다가서고 있다.
도는 다만 행사 유치시에도 DMZ 트레킹, 자전거길 등 DMZ 관련 관광산업과 각종 다양한 행사 등을 강원도와 함께 한다는 입장이다.
도 관계자는 “경기도의 DMZ는 판문점도 있고 개성으로 진출하는 관문에다 도라산역 등 관광자원이 산재해 기념행사 개최에 최적지”라며 “강원도와는 이번 행사를 계기로 국민이 힐링할 수 있는 장소로 거듭날 수 있게 상생발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총리실은 정전일인 1953년 7월27일에 맞춰 정전 60주년 행사를 가징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