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는 6일 북한이 개성공단 정상화와 금강산관광 재개 등을 위해 당국간 회담을 제의하고 정부가 수용 의사를 밝히자 일제히 환영하며 경색된 남북관계 정상화의 계기가 되길 기대했다.
그러면서도 새누리당은 북측의 이번 제의를 정부의 단호한 대북정책에 따른 결과로 평가, 북측에 진정성있는 후속 행동의 촉구에 무게를 둔 반면 민주당 등 야권은 6·15공동행사 성사도 함께 주문하는 등 방점을 달리했다.
새누리당 유일호 대변인은 논평에서 “지난 연말부터 한반도의 평화를 위협하는 수많은 도발로 국제사회의 비난과 걱정을 받았던 북한이 이제라도 한반도의 평화와 번영을 위한 책임있는 자세를 보여주겠다고 밝힌 것은 잘한 일”이라면서 “북한의 전향적인 남북 당국간 회담 제의를 환영한다”고 말했다.
유 대변인은 “그러나 북한은 대화 제의가 다른 정치적 의도가 있거나 국제사회의 눈을 가리기 위한 속임수가 아님을 증명해야 한다”면서 “앞으로 북한은 당국간 실무회담에 성실히 임해 진정성을 행동으로 보여주기 바란다”고 밝혔다.
이어 “북한의 변화는 그간 정부의 일관되고 단호한 대북정책의 결과로, 정부가 북한의 제의를 즉각 수용한 것도 잘한 일”이라고 평가하고 “한반도 신뢰프로세스는 서로간의 진정성이 전제돼야 하는 만큼, 대한민국과 북한은 서로의 진심을 믿고 한반도 평화·번영을 위한 상생의 대화를 해주길 기대한다”고 주문했다.
민주당 박용진 대변인은 국회 브리핑에서 정부의 수용의사 표명에 대해 “당연하고도 다행스러운 일”이라며 “조속한 시일내에 당국간 회담을 열어 개성공단 정상화, 금강산 관광재개, 이산가족 상봉 및 인도적 지원 재개 등에서 좋은 합의점을 찾길 바란다”고 말했다.
박 대변인은 민간 차원의 교류·협력사업 재개도 주장하며 개성공단 입주업체의 즉각 방북승인, 6.15공동행사 승인 등을 요구한 뒤 “민주당은 외교·안보에서 여야가 따로 없다고 밝혀온 만큼 남북 당국간 회담 및 교류협력을 위한 정부의 노력을 촉구하는 동시에 이와 관련된 어떠한 협력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진보정의당 이정미 대변인은 “남북 모두 너무 작은 문제들에 얽매이지 말고 한반도 평화라는 큰 물줄기를 열어가는 대범한 마음으로 임하길 바란다”고 주문했고, 통합진보당 홍성규 대변인은 “6·15공동행사 성사의 걸림돌이 모두 사라진 만큼 정부의 전향적 태도를 희망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