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6 (수)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송도 LNG 안전 논의기구 밀실운영 ‘논란’

회의 일정·결과 비공개, 주민 참관도 허용 안 해 원성 폭발
인전협의체 일부 위원 가스공사와 결탁 향응 접대 의혹도

인천 송도LNG 기지 시설의 안전문제를 논의하는 협의기구가 밀실운영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안전협의체가 회의결과를 주민에게 공개하지 않고 회의참관도 허용치 않는 등 폐쇄적으로 운영된다는 것이다.

13일 인천시와 연수구 주민들에 따르면 지난해 7월 인천LNG생산기지 가스누출사고 특별위원회의 제안으로 안전협의체가 구성됐다.

협의체는 인천시와 연수구의 공무원과 지방의원, 한국가스공사 직원, 주민대표, 시민단체 대표, 전문가 등 13명으로 이뤄져 있다.

이들은 분기 1회 회의를 열어 생산기지 운영설비의 안전관리 실태를 점검, 사고예방 대책 건의 등의 활동을 실시했다.

그러나 회의 일정과 결과는 지역주민들에게 공개되지 않는데다, 회의참관도 철저히 배제되고 있어 주민들의 원성이 크다.

지난 12일 열린 안전협의체 회의에서 주민들이 위원장의 사전양해를 얻어 회의장 진입을 시도했지만 경비인력의 저지로 무산됐다.

사전에 양해된 내용을 입증할 서면동의가 없어 당시 주민들의 회의참관을 허용할 수 없었다는 게 안전협의회의 설명이다.

이재호 위원장은 “주민들의 회의참관 여부는 위원장의 독단적 판단이 아니라 협의체 위원들의 의견을 종합해 내린 결정”이라며 “그동안 회의는 언론취재를 허용해 왔기 때문에 비공개 진행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또 일부 안전협의체 위원들이 개인적 이해관계에 따라 한국가스공사와 결탁해 주민대표성이 훼손되고 있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주민 김 모씨는 “안전협의체 위원들이 가스공사로부터 회의참석 수당 30만원씩을 받고 일부는 고급음식점에서 수차례 향응까지 받았다”며 “이들이 지역주민의 입장을 대변할만한 위치에 있는지 의심스럽다”고 꼬집었다.

이에 시 관계자는 “그 동안 안전협의체에 참가한 시민단체와 주민 대표들이 지역민들의 의견을 결집시키지 못하고 제각각 목소리를 낸 것이 사실”이라며 “조속히 대화 창구를 단일화 해 저장탱크 증설과 같은 지역현안을 해결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