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인천지역의 상습교통 정체지역에서 교통흐름이 좋아졌다는 이야기가 들린다.
그동안 인천의 교통체계는 교통사고 1위와 극심한 교통 혼잡이라는 불명예에 물류정체로 인한 경제적 손실까지 있어 인천의 교통체계를 변화시켜야 한다는 지적이 있었다.
인천경찰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선진교통문화정착과 교통사고 사망자 줄이기에 총력을 기울여왔다.
인천교통의 정책변화를 기획했던 인천경찰청 경비교통과 라성환 경감은 20일 공훈을 인정받아 대통령표창을 수상한다.
라 경감을 만나 인천교통정책에 대해 알아봤다.
‘교통사고 줄이기’를 위해 실행한 인천경찰의 중점사업은.
인천경찰청은 UTIS(urban traffic infomation system)-첨단의 도시교통정보시스템을 전국 42개 도시 중 가장 먼저 구축했다. 이를 활용해 관내 교통소통정보를 수집해 교통사고발생 및 돌발상황을 주행 중인 운전자들에게 미리 경고해 도심부 간선도로 및 고속도로에서 교통사고 사망자를 19% 감소시켰다.
또 시내 교통사고의 체계적 원인분석을 통해 과학적인 시뮬레이션 실행 후 시내 교통 제한속도를 60~70㎞/H로 낮춰 전년도에 비해 교통사고를 약 20% 줄였다.
선진국 수준의 교통흐름을 위해 추진한 일은.
인천은 산업공단 등 공업지역이 밀집해 있는 특성으로, 도로 내 효율적인 진출입로를 만들어 불법 좌회전 및 유턴 등을 방지해 원활한 교통흐름을 만들 수 있었다.
이를 위해 공장규모를 고려한 입주기업 진출입로 372개소(중앙성 절선 120, 차로조정 92, 유턴허용 152, 주차하용 등 8개소) 등을 신설했다.
또 인천교통을 마비시키는 상습정체 교차로에 전국 최초로 ‘앞 막힘 제어시스템’을 설치, 교차로 신호연동화와 심야시간 점멸신호 등을 통해 효율적인 교통흐름을 유도해 차량의 평균속도가 빨라졌다.
현재 교차로 통행속도가 평균 45% 향상되고 차량지체 시간이 9분이나 단축됐다.
연간 사회적 비용은 48억원을, 물류비용은 5천871억원의 절감시켜 인천경찰의 새로운 교통정책이 원활한 교통흐름과 경제적 이익까지 두 마리 토끼를 잡았다는 평가를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