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LH(한국토지주택공사)의 동탄2신도시 광역교통개선대책 축소에 대해 ‘원안 추진’을 촉구하고 나섰다.
남충희 도 경제부지사는 30일 기자회견을 열고 “LH의 동탄2신도시의 광역교통개선대책 변경안은 도민과의 신뢰를 저버리는 행위로 이를 수용할 수 없다”며 원안대로 이행할 것을 촉구했다.
도에 따르면 LH는 화성시 동탄면 영천리 등 11개 리 2천401만㎡ 부지에 16조7천571억원을 들여 동탄2지구 택지개발사업을 추진 중이다. 기간은 오는 2015년까지로 28만5천여명이 입주하게 된다.
또 LH는 동탄2신도시 개발사업과 함께 3조3천948억원을 들여 도로분야 24개 사업과 철도분야 4개 사업을 건설하는 광역교통개선대책을 수립했다.
하지만 최근 주택시장 침체와 재무여건 악화를 이유로 당초보다 9천906억원이 줄어든 2조4천42억원 규모의 광역교통개선대책 변경안을 국토부에 제출했다.
도로분야 12개 사업과 철도분야 4개 사업의 사업비와 형식이 변경됐다.
특히 제2외곽순환고속도로(동탄JC~용인·630억원), 제2경부고속도로(용인~서하남·1천610억원), 국지도82호선 확장(장지IC~국지도45호선·2천832억원) 등 3개 사업을 제외하는 대신 3천728억원을 들여 경부고속도로 기흥동탄나들목∼동탄분기점 3.64㎞를 직선·지하화하기로 했다.
또 광역급행철도(삼성∼동탄2) 분담금을 8천억원에서 2천252억원으로 줄이고, 신교통수단(광교~동탄2~오산, 병점~오산2)을 사업에서 빼는 한편 광역환승센터(동탄역사) 건설비용 513억원을 부담하고 2천100억원을 들여 BRT(간선급행버스체계)를 도입키로 했다.
남 부지사는 “이미 입주예정자의 분양원가에 포함된 동탄2신도시의 광역교통대책비용을 일방적으로 축소하는 것은 부당하다”며 “삼성~동탄간 GTX를 포함한 철도·도로분야 분담금 축소가 초래할 졸속 교통대책은 이 지역의 정주여건을 악화 시킬 것”이라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국가행정의 공신력 실추는 물론, 약속이행을 요구하는 입주예정자들의 집단민원에 의한 심각한 사회적 갈등을 부르게 될 것이 명백하다”며 “동탄2신도시의 광역교통개선대책 축소계획을 철회, 도민과의 약속을 이행하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