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품 도시’를 기치로 내건 광교신도시가 4대 핵심사업이 표류하는 등 베드타운으로 전락하고 있는 것은 김문수 경기도지사가 이를 정치적으로 이용했기 때문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경기도의회 오완석(민·수원) 의원은 14일 기획재정위원회의 경기도시공사 행정사무감사에서 “지난 2007년 광교신도시를 자족도시로 만들기로 발표하면서 도청사를 이전키로 했고, 이 부분이 광교신도시의 핵심이었다”며 “하지만 도청사 이전은 진척이 없고, 주민 편의를 위한 지원시설 등의 분양은 절반 수준에 불과한데 이는 결국 도의 의지가 없기 때문”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오 의원에 따르면 광교신도시는 총 공급면적 373만7천㎡ 가운데 77%인 288만2천㎡가 공급됐다. 공급액은 7조6천961억원이다.
용도별로는 공동주택용지가 174만㎡ 가운데 164만9천㎡가 분양돼 분양률 95%를 보였고, 단독주택용지도 23만7천㎡ 중 89%인 21만1천㎡가 분양됐다.
반면, 주민 편의를 위한 도시지원시설용지는 46%인 15만1천㎡만 분양됐고, 공공시설용지와 상업용지도 각각 분양률 63%(52만4천㎡), 68%(8만7천㎡) 수준에 머물고 있다.
이는 주민 편의는 아랑곳하지 않고, 돈이 되는 주택 분양에만 열을 올렸기 때문이라고 오 의원은 분석했다.
또 광교신도시 4대 핵심사업도 모두 표류 중이다.
도청사 이전은 도가 재정난을 이유로 내년 공사비 249억원과 설계비 31억원의 예산을 전액 삭감해 늦춰졌고, 에콘힐 사업은 지난 6월 무산됐다.
법조타운 이전 역시 수원지방법원 신청사 부지가 미정인 상태며 컨벤션센터 개발은 기본계획조차 확정하지 못하고 있다.
오 의원은 “도청사 이전은 재정이 아닌 의지의 문제로 이미 계획을 세워 놓고 실행을 안하는 것은 정치적으로 이용한 것으로 밖에 볼 수 없다”며 “자족신도시에 자족이 빠지고 베드타운만 남게 됐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