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의회 기획재정위원회의 경기개발연구원 행정사무감사 초점이 연구 방향 등이 아닌 ‘의정연구센터 예산 확보’에 맞춰져 ‘제 밥그릇 챙기기’에 급급하다는 지적이다.
도의회 기획재정위원회는 지난 15일 경기개발연구원에 대한 행정사무감사(행감)를 진행했다.
최대 이슈는 도의원의 조례안 등 입법지원활동과 정책조사 등 의정활동을 지원하는 의정연구센터의 내년도 예산 확보였다.
앞서 도는 경기연의 내년 출연금을 올해 107억7천만원 보다 17억원 가량 줄어든 90억원 규모로 편성했다.
포문은 신현석(새·파주) 의원이 열었다.
신 의원은 “의정연구센터 연구원들의 도움을 받아 도의 문제와 난맥상을 진단하고, 연구해야 하는 데 예산이 성립되지 못했다. 예산 반영에 적극 노력해 달라”고 요구했다.
이어 신종철(민·부천) 의원도 “도의회는 재정 문제에 대해 도 집행부와 머리를 맞대려고 했는데 어떻게 일방적으로 의정연구센터의 예산을 편성 안할 수가 있는가. 사후 통보를 받은 것인가”라고 따져 물은 뒤 “도 기획조정실 행감 때 예산문제에 대해 재차 점검 하겠다”고 밝혔다.
또 윤희문(새·이천) 의원 역시 “경기연의 내년 예산이 17억원 가량 줄었다. 가장 핵심적인 예산 삭감 부분은 무엇인가”라며 의정연구센터의 예산 삭감 부분을 재차 확인했다.
이에 대해 홍순영 원장은 “의정연구센터를 설립하면서 연구원 등을 새로 영입했고, 이를 새로운 모델로 발전시키기 위해서도 예산 지원이 절실하다”라며 예산 확보에 대한 도움을 청했다.
한편, 의정연구센터는 16억7천만원이 지원돼 지난 4월 석사학위 이상 연구원 24명으로 개원했다. 연구원은 도의회 10개 상임위에 각 2명씩 배정됐고, 4명은 상임위를 특정할 수 없거나 다수의 상임위와 관련된 업무를 맡고 있다. 10월 기준 368건의 의정활동을 지원했으며 전체 도의원의 65.6%인 86명이 이용했다.
앞서 도의회는 지난해 말 예산심의 과정에서 의정연구센터 설립 및 운영에 필요한 예산 16억7천만원을 도와 협의 없이 임의증액, 마찰을 빚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