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3 (금)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도내 ‘폐교 땅’ 면적 잠실운동장 11.8배

이계원 의원 “매각 등 적극활용 필요”

경기도내 폐교부지 면적이 잠실종합운동장의 11배가 넘는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전체 폐교부지 면적의 12%가 많게는 20년 넘게 방치되고 있어 관리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경기도의회 이계원(새·김포) 의원이 18일 도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 1990년부터 최근까지 도내 폐교 수(분교포함)는 총 67개교로 양평 14개교, 가평 9개교, 연천 8개교, 여주 6개교, 안성 5개교 등의 순으로 많았다.

전체 부지 면적은 총 71만3천765㎡로 잠실종합운동장의 11.8배 정도 규모로 연면적 5만5천877㎡의 건물도 남아 있다.

폐교 후 활용 용도별로는 대부(53개교)가 75.5%로 가장 많았으며, 목적별로는 교육시설 36개교, 문화시설 9개교, 체육시설과 사회복지시설이 각각 3개교 등으로 나타났다.

문제는 이 중 폐교 부지 중 미활용 부지로 남아있는 부지다. 현재 도내에는 12%인 8만2천977㎡가 미활용(8개교) 부지로 남아있는 상태다.

지역별로는 안성 3곳, 양평 1곳, 가평·포천 각 2곳 등으로 이들 모두 1990년부터 1996년 사이에 폐교된 것으로 조사됐으며, 폐교 후 교사 용도에 맞게 지역교육청 등에서 자체 활용하는 폐교는 4곳(5만8천722㎡)에 불과했다.

이계원 의원은 “활발한 귀농 현상에도 불구하고 인구 감소와 고령화에 따라 농촌지역뿐만 아니라 공동화 현상이 벌어지고 있는 도심지 학교에서도 폐교가 늘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대부와 지역주민의 문화 활동 보장을 위한 지자체 활용 등을 통해 학교시설 용지를 보유하는 것도 좋지만 무엇보다 시설관리에 드는 비용부담과 안정적 교육재정 확보를 감안해 매각 등 적극적인 미활용 폐교에 대해 활용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