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의 도시공원에 대한 정책실종으로 도내 도시공원이 ‘돈먹는 하마’로 전락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경기도의회 도시환경위원회 소속 김종석(민·부천)·양근서(민·안산) 의원은 19일 열린 축산산림국에 대한 행정사무감사에서 도의 도시공원 정책 전반에 대해 질타했다.
김 의원은 이날 질의를 통해 “아무런 기준 없이 시군의 요청에 따라 매년 139억원 규모로 시책추진비만 지원되다보니 도시공원과 관련해 정책적이 아닌 시혜성 접근만 이뤄지고 있다”라며 “시책추진비로라도 매년 예산이 지원되고 있는 만큼 도가 관련 가이드라인과 메뉴얼을 통해 예산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해 양 의원은 “도가 도시공원의 조성 방향과 관리매뉴얼 제시 등 정책 관리를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다”라며 “이에 따라 도내 도시공원이 대부분 잔디밭 등 조경시설 위주로 조성돼 해마다 잔디 깎기와 조경공사 비용 등이 많이 들어가고 있다”고 지적했다.
양 의원이 도로부터 받은 ‘2013년도 도시공원 조성·관리예산’을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도내 31개 시·군의 도시공원 관리면적은 9천54만8천여㎡로 관리비만 무려 815억3천900만원이 투입됐다. 지난해보다 관리면적은 152만3천여㎡, 관리비는 95억3천500만원 증가한 것이다.
관리비를 지역별로 보면 고양시가 193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수원시 149억원, 용인시 79억원, 안산시 71억원, 화성시 64억원 등의 순이다.
단위면적(1천㎡)당 관리비도 고양시가 312만원으로 가장 높고 화성시 211만원, 안산시 194만원, 수원시 181만원, 용인시 115만원 등으로 나타났다.
이는 도내 시·군의 평균 관리비인 90만원보다 2~3배 높은 수준으로, 8만여원에 불과한 과천시와 이천시, 포천시 등과 비교하면 최대 39배까지 차이가 나는 것이다.
양 의원은 “유지관리에 고비용이 들어가는 방식을 탈피해 자연 숲 등 생태공원으로 전환해야 한다”라며 “도시공원의 조성 권한을 쥔 시·군에 적절한 관리매뉴얼을 제시하는 등 도가 적극적인 관리에 나서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