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7 (일)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고창 33.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강화 30.8℃
  • 맑음보은 30.5℃
  • 맑음금산 30.8℃
  • 맑음강진군 33.3℃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도내 노후산단 재생방안 필요” 지적

경기연, 111곳 중 46% 노후
규제완화 특별법 제정 제언

경기도내 산업단지 가운데 46%가 노후화돼 활력을 불어넣기 위한 재생 방안이 필요하단 지적이 제기됐다.

4일 경기개발연구원 신기동 연구위원이 발표한 ‘노후산업단지 활력 제고 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도내 111개 산업단지(산단) 가운데 1980년 이전에 착공한 노후 산단 면적은 40.7㎢로 전체의 45.8%를 차지했다.

이곳의 종사자수는 31만6천555명으로 전체의 73.1%에 달했다.

산단이 노후 되다보니 문제점도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도내 노후 산단의 입주기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가장 큰 문제점은 주차난(44.5%) 이었다. 이어 커피숍과 은행 등 편의시설 미흡(36.8%), 인력수급의 어려움(35.4%), 건물 노후화(28.2%), 진입도로 정체(28.2%) 순이었다.

재정비사업 필요성에 대해서는 43.5%가 필요하다고 답했으며 바람직한 재정비 방법은 노후 공장이나 기반시설의 부분적 정비·확충(49.8%), 공장 이외의 기반시설 위주의 정비·확충(43.5%), 전면 철거 및 재개발(5.3%) 등이라고 답했다.

이 같은 노후 산단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서는 민간투자 활성화를 위한 산업단지 개발·관리 규제완화가 필요하다고 신 연구위원은 제언했다.

특히 산업단지 내 IT·서비스업과의 융복합을 촉진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또 노후 산단 특성에 맞춘 차별화 전략도 요구됐다. 도심인접성, 산업구성 등을 고려해 기능전환형, 환경개선형, 절충형으로 추진하자는 것이다.

이와 함께 급진적 방식의 재정비가 아닌 기반시설 개선 지원 및 지자체·입주업체 주도의 산업단지 관리체계 마련, 노후산업단지 재정비 관련 법령·제도를 통폐합한 가칭 ‘노후산업단지 활력제고 특별법’ 제정 등의 필요성도 제기됐다.

신 연구위원은 “도내에서 준공 20년 이상된 모든 일반산업단지에 대한 지정권자인 도 주관의 산입법에 근거한 재생계획을 수립해야 한다”며 “현재 재정비가 필요한 노후 산단은 정부의 리모델링 추진 방향에 따라 산업정책 및 도시계획 관련부서간 협업체제를 구축, 실행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