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인구가 이르면 오는 2020년 1천243만명(추계인구 기준)을 기록해 정점에 도달할 것으로 예측됐다.
이는 통계청이 예상한 2033년보다 13년 앞선 수치다.
23일 경기개발연구원(경기연) 김을식 사회경제센터장이 발표한 ‘경기도 인구 구조의 변화와 정책적 함의’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경기도 인구는 2020년 1천243만명을 정점으로 차차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생산가능인구는 2015년 915만명을 정점을 찍은 뒤 하락세로 돌아선다.
역시 통계청 예상보다 4년 빠르다. 앞서 통계청은 2010년 장래인구추계에서 경기도 인구는 2033년 1천346만명으로, 생산가능인구는 2019년 935만명으로 각각 정점을 찍은 뒤 감소할 것으로 예측했다.
양 기관의 예측 차는 통계청의 ‘장래인구추계’ 시 미래인구 과대 추정 경향 때문으로 분석됐다.
일례로 지난 2005년 통계청이 예측한 2010년 인구는 2010년 인구센서스에 비해 전국 1.8%, 서울 4.1%, 경기도 3.8%가 높게 추정됐다.
도내 인구 증가는 순유입 뿐 아니라 자연증가 기여율도 함께 증가하고 있는 영향으로 나타났다.
지난 2008~2010년 도내 인구 순유입은 연령별로는 20~30대가 높은 비중(58.8%)을 차지했고, 지역별로는 서울에서 도로 이주한 인구가 49만명으로 가장 높았다.
서울 대비 낮은 전세가격과 전국보다 높은 고용률, 교육·보육여건 개선 등이 원인으로 분석됐다.
같은 기간 도의 인구 1천명당 출생아 수는 연평균 10.4명으로 전국(평균 9.4명)에서 가장 높았다.
김을식 센터장은 “인구 증가의 핵심인 20~30대 젊은 층을 위한 주택, 일자리, 교육 등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며 “전·월세 가격 안정, 일자리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고용·복지 연계 서비스 확대, 정보통신기술 산업 육성, 서비스업 생산성 제고 지원 등의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안경환기자 j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