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경기도 세수입이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경기도에 따르면 지난 1~4월 도세 징수액은 2조1천89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기간 1조8천374억원에 비해 3천515억원(19.1%)이 증가했다.
이는 올 목표액 6조8천519억원의 33.3% 수준이다.
세목별로는 취득세가 주택거래세율 영구인하에도 불구하고 지난해에 비해 1천859억원 증가했고, 지방소비세도 전년 동기 1천281억원 보다 2천733억원(113.3%) 더 걷혔다.
도세 징수액이 증가한 것은 도내 주택거래량과 토지 및 건물거래량이 전년대비 증가하는 등 부동산 경기를 비롯한 전반적인 경기회복 살아나고 있기 때문으로 도는 분석했다.
지방세법 등의 개정으로 올해부터 지방소비세가 국세인 부가가치세의 5%에서 11%로 6%p 인상된 점도 한 몫 했다.
이 기간 도내 주택거래량은 8만790건으로 전년(4만6천577건) 대비 3만4천213건 늘었다.
토지와 건물거래량도 지난해 같은 기간대비 13%~67% 증가했고, 건축허가 면적도 지난해 1분기 568만9천㎡ 보다 69% 증가한 962만1천㎡로 집계됐다.
도는 올 하반기 성남 위례신도시와 판교 내 대형건물 준공, 수원 광교신도시 택지분양 및 공동주택 준공입주, 김포 한강신도시 공동주택 준공입주, 화성 동탄2지구 택지분양 등 대단위 개발사업이 추진돼 도세 징수 목표 달성이 무난한 것으로 전망했다.
박동균 도 세정과장은 “부동산 및 경기회복에 따라 도세 징수 여건이 개선되고 있고, 다양한 지방세 징수정책과 제도개선을 통해 누수 없는 세정운영을 펼치고 있는 만큼 도 재정이 지속적으로 건강해질 것으로 전망한다”고 말했다.
/안경환기자 j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