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는 28일 안대희 국무총리 후보자의 전격 사퇴에 대해 엇갈린 반응을 나타냈다.
새누리당은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면서 야당의 공세 차단에 주력한 반면, 새정치민주연합은 당연한 결과라며 내친 김에 청와대의 인사검증시스템 난맥상을 지적하면서 공세의 고삐를 바짝 죄었다.
새누리당 민현주 대변인은 이날 구두논평을 통해 “매우 안타깝다”면서 “청문회에서 공식으로 후보의 자질을 검증하기 전에 여러가지 의혹으로 자진사퇴하게 된 것에 대해 안타까운 마음”이라고 말했다.
민 대변인은 “전관예우 등으로 의혹을 산 수임료 등 국민 눈높이와 맞지 않는 여러 지적에 대해 후보자가 스스로 용퇴의 결단을 내렸다고 본다”고 평가하기도 했다.
같은 당 박대출 대변인도 “강직한 성품으로 공직사회의 개혁을 이끌 적임자였는데 국민 검사에서 국민 총리로 가는 관문을 통과하지 못해 안타깝다”며 “국가 대개조의 시대적 소명과 국민 여망에 부응하지 못하게 돼 애석하다”고 밝혔다.
박 대변인은 “국회 인사청문회에 앞서 정치적 난도질과 장외 난전에 휘둘려 능력과 자질을 검증받을 기회조차 박탈당했다”며 “야당이 이처럼 모든 것을 정쟁거리로 삼는 횡포에 누가 살아남을지 의문”이라고 비판했다.
반면 새정치민주연합 안철수 공동대표는 “늦었지만 당연한 일”이라면서 “앞으로 임명할 총리 후보자는 박근혜대통령이 대선 때 공약한 대로 국민통합을 이룰 수 있는 인사를 고르기 바란다”고 밝혔다.
박영선 원내대표도 “인사검증시스템 붕괴에 대해 청와대 민정수석과 김 실장은 검증 실패의 책임을 면하기 어렵다”며 “우리 사회의 적폐인 전관예우를 수술해야 하는데 그 수술의사로서 적당하지 않은 사람을 선택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박광온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국가적으로 안타까운 일이지만 국민 눈에서 볼 때 당연한 일”이라면서 “국민을 위한 인사가 아닌 청와대를 위한 인사의 결말로 국가재난시스템에 이어 청와대 인사검증시스템이 붕괴된 결과”라고 논평했다.
/임춘원기자 lc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