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2 (화)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젊은기업 단명…고용감소 후유증

기업 10곳 중 7곳은 창업후 5년내 폐업
신규 일자리 창출·소멸 일자리 규모 비슷

지난 2003년 이후 젊은 기업의 생존률이 낮아지면서 고용창출 효과 보다는 고용감소로 이어지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특히 젊은 기업 10곳 중 7곳은 창업 후 5년 이내 폐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경기개발연구원 이수행 연구위원이 발표한 ‘일자리 창출의 엔진, 젊은 기업(Young Firm)’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창업한 지 5년이 안된 국내 젊은 기업의 고용비중은 2012년 기준 31.6%로 OECD 주요국 평균(21.4%)보다 10.2%p 높다.

하지만 고용비중은 2002년 45.3%로 단기고점을 찍은 이후 감소세로 돌아섰다.

특히 2003년부터 2008년까지 한국의 젊은 기업은 고용창출보다는 -1~-4%의 고용감소를 나타냈다.

같은 기간 OECD 주요국의 젊은 기업이 3%대의 순일자리 증가세를 기록한 것과 대조적이다.

우리나라 제조업 창업률(11.1%)과 서비스업 창업률(15.7%)은 OECD 국가 가운데 가장 높은 수준인 반면 창업 후 1년 생존율이 70%대 내외로 OECD 주요국 가운데 가장 낮은 게 원인으로 꼽혔다.

대부분 생계형 1인 기업인 한국 젊은 기업의 창업률은 2011년 기준 16.5%다.

이들의 5년 생존율은 평균 28.3%에 불과하다.

업종별로는 요식업 22.2%, 도소매업 18.9%, 제조업 13.5% 수준이다.

신규 일자리 창출 기여도에 못지않게 소멸 일자리 규모 역시 높아 결과적으로 순일자리 창출 기여도는 낮은 셈이다.

이에 따라 이수행 연구위원은 창업 확대 위주에서 생존율을 높이고, 고용창출 규모도 확대되는 ‘질 좋은 창업’ 실현을 주장했다.

선도기업인, 기술이전전문회사 등 민간 중심의 창업 중개기관을 육성해 창업단계별 맞춤형으로 지원, 이를 통해 창업자·연구개발자·투자자 간 연계 강화로 기술창업을 촉진할 수 있다고 이 연구위원은 설명했다.

이 연구위원은 “창업자 역량에만 의존하는 현행 폐쇄형 창업지원시스템에서 사회의 다양한 네트워크를 충분히 활용하는 개방형 창업지원시스템으로 전환해야 한다”며 “기술의 산업화를 촉진시키는 기술이전 전문기관 활성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안경환기자 jing@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