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중기획] 사회적 기업을 찾아서
“빵을 팔기 위해 고용하는 것이 아니라 고용하기 위해 빵을 판다”
미국 루비콘 제과 창업자 릭 오브리의 말이다.
이 말을 가장 잘 적용한 부분이 바로 사회적 경제다.
사회적 경제는 사회적기업과 예비 사회적 기업, 마을기업, 협동조합 등 비영리 목적의 조직을 통칭해 이르는 말이다.
경기도내에는 지난해 8월 기준 사회적 기업 131곳, 예비 사회적 기업 240곳, 협동조합 366곳, 마을기업 148곳 등이 운영 중이다.
조직형태별 인증현황을 보면 상법회사가 310곳으로 가장 많고, 이어 민법상 법인 155곳, 비영리단체 114곳, 사회복지법인 78곳, 생활협동조합 13곳, 영농조합법인 10곳 등의 순이다.
이들의 주된 사업 영역은 음식료품 18.6%, 교육 서비스 16.8%, 기타서비스업 11.8%, 서비스 11.2% 등이다.
조직별로는 사회적 기업은 제조업(17.5%), 예비 사회적 기업은 서비스업(17.6%), 협동조합은 교육서비스(21.1%), 마을기업은 음식료품(53.3%) 등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다.
그러나 이들 조직은 개인출자가 전체의 44.7%로 가장 많고, 공동출자도 31.0%에 달하는 등 대부분 개인이나 공동출자 형태로 구성됐다.
상품 및 서비스도 전체의 86.6%가 사회취약계층에 제공되고, 이 가운데 65.1%는 무상제공되고 있다.
반면, 일반 시민이나 기관이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의 88.0%가 유상 제공되고 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사회적 경제 조직의 운영기간도 사회적 기업 6.65년, 예비 사회적 기업 4.38년, 마을기업 2.46년, 협동조합 1.71년 등 평균 4.13년에 불과하다.
조직 규모도 평균 고용인원 22.3명 가운데 9.2명 정도만 정규직이다.
하지만 기업 수익금 가운데 24.0%를 사회에 환원하고 있다.
도는 이 같은 사회적 경제 조직의 조기 정착과 성장단계별 지원하기 위해 지난 4월 인큐베이팅 공간과 컨설턴트 등 인적·물적 인프라를 갖춘 ‘경기도 사회적 경제 통합지원센터’를 설립했다.
지원기관별로 나눠 지원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행정력 낭비 문제를 줄이고, 이들이 지속적인 성장을 할 수 있도록 단계별 지원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다.
또 ‘경기도 사회적 경제 육성 지원조례’도 제정해 지원 근거를 마련했다.
경기신문 역시 사회적 경제 조직의 지속 가능한 성장 토대 마련에 도움이 되고자 연중기획을 실시한다.
‘사회적 경제기업 탐방’ 연중기획은 현장에서 이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애로사항과 생생한 기업 활동을 알리게 된다.
/안경환기자 j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