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가 이번 주 7·30 재·보궐선거 대상지역 15곳에 대한 본격적인 공천 작업에 들어감에 따라 ‘공천 전쟁’의 본격적인 막이 올랐다.
▶관련기사 3·4면
역대 최대 규모의 ‘미니 총선’으로 치러지는 이번 재·보선은 사실상 ‘무승부’로 끝난 6·4 지방선거의 연장전으로 여당의 과반의석 회복이 달려있는 데다 총리 후보자의 연쇄 낙마에 따른 박근혜 정부 중간평가 성격까지 더해져 여야간 양보 없는 대회전을 예고하고 있다.
특히 여야는 후보공모와는 별도의 트랙으로 선거승리를 위해 거물급 인사들의 전략공천 카드를 만지작거리며 상대에게 먼저 패를 노출하지 않으려는 ‘눈치작전’을 치열하게 벌이고 있다.
이번 재·보선이 치러지는 15곳 중 영남권(부산·울산) 2곳과 충청권(충주·서산 태안) 2곳은 새누리당 우세, 호남권(광주 1곳·전남 3곳) 4곳은 새정치연합 우세로 각각 분류된다.
결국 승패는 수도권과 충청에서 갈릴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서울 1곳, 경기 5곳과 대전 1곳 등 7개 지역은 여야가 어떤 인물을 공천하느냐에 따라 판세가 좌우될 가능성이 크다.
이에 따라 여야 모두 필승카드를 찾기 위해 고심하고 있어 대진표가 더욱 늦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새누리당은 재보선에서 패배할 경우 박근혜 정부의 국정운영 동력이 급격히 저하될 것이 불을 보듯 뻔한 만큼 당선 가능성을 최우선으로 공천해 국회 과반의석을 반드시 사수한다는 목표다.
현재 147석에다 적어도 4석 이상 얻어야 과반인 151석을 채울 수 있다.
하지만 세월호 참사와 총리 연쇄 낙마 등 인사 문제로 여당의 지지도가 하락한 힘겨운 상황이어서 우려가 제기된다.
내부적으로는 패배의 위기감이 짙은 이번 선거의 의미를 축소하기 위해 거물급을 총동원하기보다 기본적으로 지역 맞춤형 인물로 공천하고 전략공천은 최소화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새정치연합은 여당 의석 과반 붕괴를 반드시 달성한다는 목표다.
선거가 치러지는 15곳 중 우세인 호남권 4곳에다 수도권 6곳 중 당초 새정치연합이 갖고 있던 2곳을 넘어서는 3석 이상을 차지해 모두 8석을 가져오면 승리로 볼 수 있다는 내부 기준을 갖고 있다.
당은 현 정부의 인사 시스템의 부실이 정점에 달했다는 점과 함께 국민과 소통하지 않는 부실한 국정운영에 대한 책임을 물어야 한다는 메시지로 유권자의 투표를 독려할 심산이다.
/임춘원기자 lc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