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4 (수)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올해 대졸 新入 월급, 고졸보다 74만2000원 더 받아

경총 ‘2014 임금실태’…작년보다 격차 더 커져
연봉제 실시 기업 임금수준, 비연봉제보다 높아

올해 4년제 대졸 신입사원의 월급이 278만4천원으로 조사돼 고졸 사무직과의 임금격차가 74만2천원으로 전년보다 더 벌어졌다.

한국경영자총협회(이하 경총)는 30일 369개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4년 임금조정 실태조사’ 결과, 올해 4년제 대졸 신입사원의 상여금을 포함한 초임금은 지난해보다 4.7% 오른 월 278만4천원으로 집계됐다고 30일 밝혔다.

학력별 초임금은 △전문대졸 247만1천원 △고졸 사무직 204만2천원 △고졸 생산직은 221만8천원으로 조사됐다.

대졸 신입사원과 고졸 사무직 간의 임금 격차는 월 74만2천원으로 지난해 71만9천보다 더 커졌고, 연봉으로 환산했을 때 890만4천원에 달하는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1천인 이상 기업의 평균 대졸초임은 지난해 처음으로 300만원을 넘어선 가운데 올해도 2.2% 상승한 306만6천원으로 조사됐다. 100~299인 기업의 초임금은 242만9천원으로 대기업 초임금과 63만7천원의 차이가 났다.

또 이번 조사에서 연봉제를 실시하는 기업의 임금수준은 미실시 기업에 비해 직급별로 5~14% 정도 높게 나타났다.

부장의 경우, 연봉제 실시 기업 부장 월급은 649만8천원(상여금 포함)으로 연봉제 미실시 기업과 비교했을 때 약 78만원, 연봉 환산 시 차이는 933만4천원에 달했다.

이밖에 연봉제 실시 기업과 미실시 기업의 직급별 임금차이는 연봉을 기준으로 △차장 474만1천원 △과장 438만8천원 △대리 321만7천원 △대졸 169만7천원으로 집계됐다.

경총 관계자는 “연봉제 실시 기업 임금수준이 높게 나타나는 이유는 연봉제가 주로 임금수준이 높은 대기업을 중심으로 도입됐기 때문”이라며 “연봉제를 처음 도입할 당시 근로자의 임금수준 하락 등 근로기준법 상 ‘불이익 변경’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임금 인상이 다소 높게 이뤄졌다”고 말했다.

한편 올해 임금협상이 타결된 기업들의 평균 임금인상률(통상임금 기준)은 8.2%로 전년에 비해 4.2% 포인트 상승했다.

경총은 “이러한 대폭 상승은 대법원 판결에 따른 통상임금 범위확대로 일부 기업에서 고정성을 갖춘 정기상여금을 통상임금에 산입한 데 따른 것”이라며 “고정상여금 비중이 높고, 통상임금 범위가 확대된 경우가 많은 대기업의 임금인상률이 높다”고 설명했다.

/백미혜기자 qoralgp96@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