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가 올해 내에 알기 쉽고 통일된 정부상징(GI)을 만들겠다는 정책 의지를 공식화함에 따라 국가 상징체계 개편의 필요성과 향후 정책 방향에 대한 논의가 공론장의 무대 위에 올랐다.
이에 따라 지난 1949년 문교부가 입법·사법·행정부의 표식을 지정한 이래 65년 넘게 사실상 정부를 대표해온 상징물이 돼온 ‘무궁화’가 다른 상징물로 대체될 수 있을지에도 관심이 쏠린다.
원용기 문체부 문화예술정책실장은 17일 광화문 청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박근혜 대통령 주재 하에 오전에 열린 국무회의에서 정부상징체계 개편에 대한 추진 보고가 이뤄졌다”며 “모든 부처의 협업이 필요한 사안인 만큼 이후 개발을 맡은 문체부와 적용과 관리를 맡게 될 행정자치부를 중심으로 긴밀한 협조를 해나가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상징 통합의 필요성은 그간 각 부·처와 공공기관별로 제각각으로 만들어져 관리돼온 상징물(MI)이 일관적이지 못하고 정부의 대표성도 제대로 보여주지 못했다는 점에 기인한다.
문체부는 각 기관이 하나의 문양을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독일과 프랑스, 네덜란드, 캐나다 등 국가들의 통합형 상징체계나 통일성을 갖추고 일부 특수성을 반영하는 영국, 미국, 덴마크 등의 혼합형 채택을 염두에 두고 있다.
문체부 관계자는 “현재의 개별형에서 통합형이나 혼합형으로 바꾸자는 게 기본 의도”라며 “컨소시엄 업체 5개팀의 개발 결과와 일반인들을 상대로 한 공모 이후 공청회 등 여론 수렴을 거쳐 어느 방향으로 갈지 가닥을 잡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