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는 올해 270억원을 들여 도내 16개 시·군 하천 48곳을 정비한다고 22일 밝혔다.
이를 위해 도는 지난 2~13일 해당 하천을 대상으로 소하천정비사업 추진실태를 점검했다. 점검은 해빙기 안전사고 예방 및 우기철 사전 위해요소를 차단키 위한 것으로 소하천 정비 종합계획, 중기계획, 수계 일괄 설계 여부 등에 대해 이뤄졌다.
또 조기발주 추진단 구성, 사전설계검토 이행, 천변저류지·사방댐·완경사 제방 설치 반영 등도 점검했다.
이 결과 도내 소하천의 수질이 전반적으로 개선됐으며 하천 내 친수공간 조성 등으로 시민들의 여가에 이바지 한 것으로 평가됐다.
특히 도는 용인시의 1인1촌 하천정화 활동과 평택시의 민원조정협의체 운영을 모범사례로 선정했다.
용인시는 1인1촌 하천정화활동에 중소업체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했고, 평택시는 민원조정협의체를 통해 공사 장기화와 사업비 증가 등의 문제를 사전 차단했다.
도는 이번 점검결과를 바탕으로 우수 사례를 확산하는 한편 미비점 보완에 나설 계획이다.
김정기 도 하천과장은 “장마철 집중호우가 예상되거나 농경지·주택 침수 피해가 우려되는 하천을 우선적으로 정비해 나갈 계획”이라며 “예산 조기집행을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에 보탬이 될 수 있도록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안경환기자 j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