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가 6일 제7대 신임사장 공모에 들어갔지만 신임사장 선정과 임명까지 난관이 예상되고 있다.
이번 공사의 신임사장 공모는 송재용 전임사장이 지난 3월17일 전격사임 후 공석이 된 사장자리에 후속 인사조치라는 설명이다.
이전까지 매립지 사장선임은 공사 사장추천위원회가 응모자를 대상으로 서류심사와 면접심사를 거쳐 후보자를 3~5배수로 압축한 뒤 추천하면, 최종 환경부장관이 결정하는 절차였다.
지금까지 사장 임명권을 환경부가 갖고 있어 5대까지 전임사장들을 선정할 때 정권과 환경부가 일방적으로 결정했기 때문에 인천시는 소외될 수 밖에 없는 구조였다.
그러나 4자협의체(환경부, 인천시, 서울시, 경기도)에서 합의를 통한 수도권매립지의 인천시 이관이 확정됨에 따라 수도권매립지 미래의 주인은 환경부에서 인천시로 변경된다.
이 지점에서 후임사장에 대해 인천시의 의견을 무시한 환경부의 독자적 결정은 다소 무리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수도권매립지 이관이 끝나면 인천시가 공사사장 임명권을 행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현재 진행중인 수도권매립지의 인천시 이관은 법개정과 행정자치부의 승인 등이 남아있다.
그러나 2016년 수도권매립지 종료와 연장문제에 핵심 사항에 대해 판단을 내려야 할 신임사장 결정에 인천시의 의견을 어떻게 수용할 지가 반영되지 않으면 반쪽 임기의 사장으로 전락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이에 앞서 공사 노동조합 또한 “공석이 된 수도권매립지 사장 자리를 두고 환경부장관과 인천시장이 인사권 탐욕에만 군침을 흘리고 있다”며, “향후 예상되는 정치적 낙하산 인사를 결사 반대한다”고 성명을 발표했다.
이처럼 수도권매립지 사장 임명에 환경부, 인천시, 노동조합이 전혀 다른 목소리를 내고 있어 향후 충돌까지 예상되고 있다.
아울러 복잡한 이해관계로 얽힌 수도권매립지 신임사장 선임에 이해관계자들 외에도 인천시민의 관심이 증폭되고 있다.
/이정규기자 lj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