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은 6일 정부의 세월호 선체 인양 검토 작업과 관련, “인양이 기술적으로 가능하다고 결론이 나면 실종자 가족과 전문가들의 의견과 여론을 수렴해 선체인양을 적극적으로 검토할 것”이라고 밝혔다.
박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수석비서관 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현재 선체 인양과 관련한 기술적 검토가 이뤄지고 있고 관련 부처와 여러 기관에서 협력해 검토를 하고 있는 중”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박 대통령이 세월호 인양 문제를 직접 언급한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인양이 기술적으로 가능하다는 결론이 나올 경우 여론 수렴 결과를 토대로 선체 인양에 나설 수 있음을 시사한 것으로 풀이돼 주목된다.
박 대통령은 또 세월호 참사 1주기에 대해 “열흘 후면 세월호 사고가 발생한 지 1주기가 된다”며 “그동안 아픈 가슴을 안고 시신 실종자 가족과 유가족 여러분께 깊은 애도의 말씀을 드린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박 대통령은 ▲국민안전처 신설 및 안전혁신마스터플랜 수립 등 안전관리시스템 개혁 ▲민관유착 근절을 위한 부정청탁금지법안 통과 및 공직자 취업제한 강화 등 세월호 참사 이후 안전관리 강화를 위한 정부의 노력을 설명하면서 “안전문제는 국민안전처만의 일이 아니라 각 부처가 재난관리 주관 기관으로 소관 분야의 안전관리를 책임지고 수행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박 대통령은 그러면서 “지방자치단체 역시 평소에 일선 현장의 안전점검과 예방을 책임지고 재난 초동대응 기관으로서 제 역할을 다해야 할 것”이라며 “진정한 안전사회는 안전문제에 대한 국민들의 참여가 생활화되고 안전문화가 국민들의 의식 속에 체화될 때 구현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각 부처 장관들은 지난 달부터 시작해 세월호 1주기인 오는 16일까지 안전현장 방문 및 점검에 나설 예정이라고 밝혔다.
청와대에 따르면 화학물질 취급사업장, 지하철 9호선 현장 방문(국민안전처), 가뭄피해 우려지역 현장방문(농식품부), 광주 유니버시아드 대회 주경기장 안전점검(경찰청), 수학여행 안전 점검(교육부), 연안국제여객선 안전점검(해수부) 등이 이뤄졌고, 아동복지·장애인주거시설(복지부), 건설 현장(노동부), 군 노후숙소(국방부),농촌관광시설(농식품부) 등 각 부처별 안전 점검 일정이 이어질 예정이다.
/임춘원기자 lc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