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선 5기에서 6기로 전환되면서 지지부진하던 경기도 산하 공공기관 통폐합 논의가 가시화될 전망이다.
경기도 연정 실행위원회는 11일 도청 상황실에서 7차 회의를 열고 도의회, 집행부, 민간전문가가 참여하는 ‘(가칭)경기도 공공기관 경영합리화 추진협의회’를 구성키로 합의했다.
협의회는 도의회, 집행부, 민간전문가 등 15명 내외로 구성될 예정이다.
주요 역할은 도 산하 공공기관의 조직 슬림화, 인력 효율성, 통폐합 등이다.
앞서 도는 지난해 산하 공공기관의 통폐합을 추진해 왔다.
업무내용과 기능 등이 유사한 공공기관을 통폐합, 인건비 절감과 함께 상호 보완작용으로 새로운 콘텐츠 개발 등의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 하기 위해서다.
통폐합 대상은 산하 26개 공공기관 가운데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경기복지재단 ▲경기평생교육진흥원 ▲경기청소년수련원 ▲경기문화재단 ▲경기도문화의전당 ▲경기관광공사 ▲한국도자재단 ▲경기영어마을 등 9곳이다.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과 경기복지재단은 경기가족여성복지재단으로 일원화, 인력 감축 및 통합적 연구결과 도출 효과 등을 기대했다.
이 두 기관은 가족과 여성·복지 등 업무내용 뿐 아니라 교육과 연구·컨설팅 등 기능이 유사한 데다 인건비 비율이 전체의 50%를 넘어서는 곳이다.
경기평생교육진흥원과 경기청소년수련원은 교육 시설과 콘텐츠의 상호 보완을 통한 시너지 효과를 위해 경기평생교육진흥원으로의 흡수 통합을 계획했다.
또 경기문화재단과 경기도문화의전당을 경기문화재단으로 통폐합하면 상호 유기적 협조를 통한 새로운 문화 트렌드 창출이 가능할 것으로, 경기관광공사와 한국도자재단을 경기관광·도자재단으로 통합하면 관광과 도자산업을 결합한 신성장 동력 창출이 가능할 것으로 각각 예측됐다.
만성 적자에 시달리고 있는 경기영어마을은 통폐합이 아닌 민간 위탁 방안이 검토됐다.
하지만 이같은 공공기관 통폐합 계획은 민선 5기에서 6기로 넘어오면서 유야무야됐다.
통폐합 대상 공공기관과 관련된 단체의 반발, 공공기관 비대화, 각 기관의 설립목적 훼손 등이 이유다.
결국 도는 산하 공공기관 통폐합 방안을 경기연정 실행위로 공을 넘겼다.
경기연정실행위는 도의회 상임위 의견 수렴 및 양당 협의를 거쳐 다음달 9일 8차 회의를 열고, 추진협의회 위원 인선 및 운영방안 등을 최종 결정할 계획이다.
/안경환기자 j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