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는 파주·연천 비무장지대(DMZ)와 민간인출입통제선(민통선) 지역에 ‘생태계서비스 지불제’를 도입한다고 18일 밝혔다.
DMZ 전체 구간을 우선 환경보호 구역으로 만들어 남북평화의 상징으로 만들자는 운동인 이른바 ‘에코-DMZ 이니셔티브’의 일환이다.
환경부 특수법인인 자연환경국민신탁과 함께 추진했다.
생태계서비스 지불제는 물, 땅, 공기, 관광, 휴양 등 자연에서 누리는 혜택에 대한 대가를 기부하는 제도다.
물이용부담금처럼 강제로 세금을 걷어 상류 주민에게 마을회관 건립 등 간접적으로 보상하는 방식과는 다른 개념이다.
자연환경국민신탁의 특정 계좌에 시민, 기업, 단체 등이 자율적으로 기부하거나 ‘DMZ 에코증권’을 사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기부금과 증권 판매금은 현지 주민과 토지소유자, 지역 NGO 등에게 직접 사용된다.
자연환경국민신탁은 DMZ 에코증권의 상표권 등록을 마쳤으며 액면가는 5천원과 1만원이다.
자연환경국민신탁은 19∼22일 서울대 호암교수회관에서 국제 콘퍼런스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생태계서비스에 대해 논의한다.
콘퍼런스 참석차 방한한 독일, 네덜란드, 호주 등의 환경 전문가들은 개막 하루 전인 18일 생태계서비스 지불제가 도입될 파주·연천지역 DMZ와 민통선 일대를 둘러봤다.
이들은 'DMZ 글로벌 트러스트(땅 1평 사기) 운동'을 위해 임진강 군남댐, 장단반도, 태풍전망대, 두루미서식지 등을 답사했다.
앞서 도는 지난 3월 자연환경국민신탁, 파주시, 연천군, 경기관광공사 등과 ‘DMZ 일원 지속가능한 보전과 이용을 위한 업무 협약’을 맺었다.
또 DMZ 평화누리길 걷기행사 참가자가 10m를 걸을 때마다 1원씩 기부해 적립한 461만원을 자연환경국민신탁에 지원하기도 했다.
도는 평화통일마라톤, 자전거 퍼레이드 등 각종 행사를 통한 기부를 확대할 방침이다.
/안경환기자 j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