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인 강제노동 시설이 포함된 일본의 근대산업시설 세계유산 등재 추진과 관련, 일본이 우리 정부에 “타협 방안을 논의하자”고 제안한 사실이 뒤늦게 확인됐다.
정부 당국자는 28일 기자들과 만나 “지난 22일 도쿄에서 열린 최종문 외교부 유네스코 협력대표와 신미 준(新美潤) 일본 외무성 국제문화교류심의관과의 첫 협의에서 일본 측이 이같이 언급했다”고 밝혔다.
일본 측은 당초 일방적 등재 추진에 대한 우리 정부의 문제 제기에 “정치적 주장”이라고 반박해왔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산하 민간 자문기구인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가 지난 15일 ‘등재 권고안’에서 “전체 역사를 알 수 있도록 하라”고 권고한 이후 타협 여지를 남긴 것이다.
일본 측은 등재를 추진하면서 1850년부터 1910년으로 시기를 한정했지만 1940년대에 집중됐던 조선인 강제노동도 포함돼야 한다는 것이 이코모스의 ‘전체 역사’ 권고의 의미라는 것이 우리 정부의 판단이다.
세계유산 등재 여부는 다음달 28일부터 7월8일까지 독일 본에서 열리는 제39차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최종 결정된다.
일본 측이 타협방안을 언급함에 따라 일본 측이 “역사는 기억돼야 한다”는 우리 정부의 입장을 반영해 타협안을 낼 수 있을지 주목된다./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