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충격 극복을 위한 내수진작 활성화 10대 시책을 추진한다.
또 7천억 규모의 ‘메르스 추경’도 이달 중 실시하며 일정부분 예산편성권을 도의회에 넘긴다.
7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메르스 여파로 인한 내수부진을 극복키 위해 10대 시책을 추진한다.
이는 메르스 여파로 인한 내수부진이 제조업, 관광, 외식, 숙박, 의료 등 경제전반을 위축 시키고 있다는 판단에서다.
내수부진에 따른 도내 경제적 손실은 약 7조491억원으로 예측됐다.
10대 시책은 크게 자금지원, 전통시장 활성화, 메르스 피해지역 농산물 구입, 행사 재개 및 취업 지원 등으로 나뉜다.
도는 우선 1천550억원 규모의 자금을 조성, 소상공인과 중소기업, 병의원 등의 경영자금으로 지원한다.
또 오는 24일까지 7천억원 규모의 1회 추가경정예산을 편성하고, 하반기 예산은 9월달 이내에 조기집행한다.
1회 추경예산은 메르스로 인해 침체된 지역경제 활성화 지원에 주로 사용된다.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선 도와 시·군, 각 공공기관과 전통시장을 1대1로 매칭하는 1부서-1시장 지정을 비롯해 시장가는 날 운영, SNS 이벤트 등을 추진한다.
도와 시·군 구내식당도 주 1회씩 휴무제로 변경하며 대기업과 중견기업 등의 참여도 유도한다.
평택을 비롯한 메르스 피해지역의 공산품과 농·특산물 구입 및 판촉활동과 함께 도가 하반기 구매예정인 물품은 9월까지 조기 구매한다.
이와 함께 ▲지방세 및 국세 납기연장 및 징수유예 ▲문화행사, 워크숍, 교육 등 각종 행사 정상화 추진 ▲피해지역 및 업종 취업알선(현장상담) 강화 ▲내수살리기 캠페인, 메르스 인식 변화 홍보 등도 추진한다.
한편, 도는 올해 1회 추경 편성시 일정부분의 예산편성권을 도의회에 맡긴다.
남경필 지사는 이날 도의회 제300회 임시회 1차 본회의에서 “메르스 극복과 가뭄 대책을 위한 추경에 시범적으로 정책을 시행해보고자 한다. 일정부분 재원을 해당 상임위원회에 배당해 자체 편성토록 하겠다”고 밝혔다.
추경을 심의하는 상임위는 보건복지, 농정해양, 문화체육관광, 경제과학기술, 안전행정 등이다.
/안경환기자 j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