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이 근대산업시설의 세계유산 등재 과정에서 약속한 조선인 강제노역 희생자들을 기리기 위한 후속조치가 알맹이 없는 ‘껍데기’에 그칠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일본이 세계유산 등재에서 조선인에 대한 “강제노동을 인정한 것이 아니다”고 부인한 데 이어 희생자들을 기리기 위한 후속조치에서도 이 같은 기조를 유지할 방침을 밝혔기 때문이다.
일본 외무성 관계자는 8일 조선인이 노역한 사실을 알리는 ‘정보센터’를 설치할 때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외무상이 밝힌 것과 마찬가지로 ‘강제노동이 없었다’는 관점에서 관련 정보를 작성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일본 정부가 ‘forced to work’를 원하지 않음에도 ‘일하게 됐다’(‘하타라카사레타’는 표현으로 번역한 것에 대해 “어디까지나 ‘대상자의 의지에 반해 징용된 일도 있다’는 의미로 사용한 것이며 강제노동을 의미하는 것은 전혀 아니라는 입장”이라고 주장했다.
이는 일본 대표단이 지난 5일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언급한 ‘brought against their will’(의사에 반해), ‘forced to work’(강제로 노역) 등의 표현이 국제 기준·관행에 비춰 일반적으로 강제노동을 의미하는 것이라는 우리 정부의 입장과 정면 배치되는 것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