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도시공사는 ‘맞춤형 주거지원 서비스’사업 대상지 5개소를 선정하고 현상설계 공고를 시작으로 본격 시행한다고 21일 밝혔다.
인천도시공사는 그동안 부채와 유동성 문제로 초고령화 시대, 임대수요의 다양화, 핵가족화 등 주거복지 문제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응하지 못했다.
공사는 이번 주거복지 패러다임에 대응하는 인천시의 맞춤형 주거복지 서비스 시범사업을 시작해 성공적인 모델을 만들어 나가기로 했다.
앞서 공사는 인천시로부터 위·수탁 협약을 체결해 설계부터 시공, 유지관리까지 공사의 도시재생 노하우와 체계적인 시스템을 활용해 업무를 대행키로 했다.
이에 따라 지역적인 특수성와 수요를 반영해 중구 인현동 일원, 동구 만석동 일원, 남구 주안동 일원, 남동구 만수동 일원과 인천논현역 일원 등 5개소를 사업대상지로 선정했다.
‘맞춤형 주거지원 서비스’사업은 국·공유재산 토지를 활용함으로서 토지비용이 들어가지 않아 초기 투자비용이 적다.
또 기존에 있던 기능을 유지한 상태에서 복합적인 계획을 하기 때문에 민원이 적고, 소규모 건설로 사업시행기간이 짧아 적재적소에 시행할 수 있는 등 장점이 많다.
특히 저소득층 임대수요가 많고 커뮤니티 강화가 필요한 지역과 사회초년생, 신혼부부 등 전·월세 상승으로 주거문제 해결이 필요한 지역 등 사회문제를 고민하는 시범사업이다.
공사 관계자는 “이달말 중 대상지에 대한 현상설계 공고를 시작으로 내년 상반기 공사를 착공하면 2017년 상반기 입주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김상섭기자 k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