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1 (금)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돌파구는 빅딜?… 文 “통 크게 합의하자” 金 “수용 어려워”

오픈프라이머리-권역별 비례제 ‘빅딜’ 공론화

문재인
선거구 등 3가지 일괄타결 제안

김무성
“연계 불가” 부정적 반응

새정치연합 문재인 대표가 5일 오픈프라이머리와 권역별 비례대표제의 ‘빅딜’을 공식 제안하면서 여야간 협상에 돌파구가 마련될지 주목된다.

하지만 이에 대해 새누리당은 “신중하게 검토하겠다”면서도 부정적 기류가 강해 현재로서는 ‘빅딜’ 성사 가능성이 크지 않다는 관측이 나온다.

새정치연합 문 대표는 이날 “새누리당이 권역별 비례대표를 수용한다면 우리 당도 오픈프라이머리를 당론으로 결정할 수 있다”고 말했다.

문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권역별 비례대표제와 오픈프라이머리, 선거구 획정기준 등 3가지를 여야가 함께 논의해 일괄타결하자고 제안했다.

그는 “선거구를 재획정하는 이번 기회에 권역별 비례대표제를 결정하지 못하면 내년 총선 시행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논의 방식은 국회 정개특위든 여야 대표가 만나든 어떤 형식이든 좋다”고 언급했다.

또 “우리 당은 권역별 비례대표제를 도입하면서 의원정수 확대없이 현행 의원정수를 유지하면서 지역구 및 비례대표 의석 배분만 조정하는 선관위 안에 찬성한다”며 “여야가 각자 방안만 고집하지 말고 선관위의 제안 중심으로 통크게 합의할 것을 제안한다”고 밝혔다.

국회 정개특위 야당 간사인 김태년(성남 수정) 의원은 “권역별 비례대표제는 명백히 법률로 정해야 하는 선거제도지만 오픈프라이머리는 각 정당이 채택하고 정치적 합의를 하면 되는 공천제도로 서로 트랙이 다르다”라고 설명하면서도 “그런 전제를 깐다면 합의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에 대해 새누리당은 선거구 재획정과 맞물린 권역별 비례대표제는 “의원정수 확대가 불가피하다”는 이유를 들어 부정적인 입장을 밝혔다.

김무성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 “하여튼 모처럼 야당 대표가 제안한 것인 만큼 신중하게 잘 검토해보겠다”면서도 “각각의 부분에 대한 개혁적 제도가 만들어져야 하는데 어떤 한 개혁을 위해 다른 부분을 붙여서 한다는 것은 조금 수용하기 어렵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이어 오픈프라이머리와 권역별 비례대표제는 “별개의 문제”라고 거듭 강조하며 ‘연계 불가’의 뜻을 분명히 했다.

황진하(파주을) 사무총장 역시 최고위원회의에서 문 대표의 제안에 대해 “오픈 프라이머리를 고려할 수 있다고 말한 점은 긍정적으로 평가하나 권역별 비례대표제와 이 문제를 연결하는 문제는…”이라며 부정적 반응을 보였다.

특히 황 사무총장은 “권역별 비례대표제가 나름대로 이점이 있지만, 비례대표제가 가진 고유의 특성을 퇴색시킨다”면서 “또 이를 채택할 경우 부득이하게 의원 정수가 늘어날 수밖에 없다는 우려 등이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런 심각한 우려가 있다는 점에서 야당도 권역별 비례대표제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한 뒤에 다시 제안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임춘원기자 lcw@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