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1 (목)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인천지역 아파트 화재 안전 취약

아파트 10곳 중 3곳 대피시설 부족…5년간 화재 453건
연수구·동구·옹진군 소방서 없이 119안전센터만 운영

인천시가 전국 광역자치단체 중 아파트 화재 안전등급이 하위권을 기록하는 등 취약한 것으로 드러나 대비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새누리당 황인자 의원은 21일 국회 안전행정위원회 인천시 국정감사에서 이 같은 사실을 지적하고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황 의원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인천에 총 8천592건의 화재가 발생했으며 이 중 아파트 화재는 453건이었고, 사망 11명, 부상 50명의 인명 피해를 입었다.

특히 시내 아파트 10곳 중 3곳은 화재시 대피 시설이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아파트 화재에 따른 피난시설(경량칸막이, 대피공간 등) 설치가 의무화된 것은 지난 1992년으로 이전에 지어진 아파트가 전체의 32%(동 수 기준)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남구는 60%, 계양구는 50% 이상이 1992년 이전에 건설된 아파트라 특히 화재 시 대피 시설 부족으로 인한 인명피해가 우려되고 있다.

이밖에도 동구(36%), 부평구(38%), 강화군(35%) 등도 노후 아파트가 많아 화재 안전 점검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인천시 연수구, 동구, 옹진군 등 3개 지역에는 소방서 없이 119안전센터만으로 운영되고 있어, 주민들은 화재불안과 함께 소방관련 민원처리 등 이중고를 겪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인천시는 소방서 미설치 이유에 대해서는 ‘설치 추진 중’이거나 ‘소방 수요가 부족해서’라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앞서 지난 7월 국민안전처에서 실시한 광역지자체 안전 점검 화재 분야에서 인천시는 4등급(최하위는 5등급)을 받은 바 있다.

황인자 의원은 “인천시가 화재 안전분야에 있어 전체적으로 많이 취약하다고 꼬집고, 소방서 증설, 노후 아파트 화재대피시설 구축 등 전반적인 점검과 개선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상섭기자 kss@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