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합동실무단 조사 결과
주한미군이 지난 4월 오산기지로 탄저균 샘플을 반입한 것 외에도 과거 15차례 미국 측으로부터 탄저균 샘플을 배송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따라 탄저균 실험이 올해 오산기지에서 처음 진행됐다는 주한미군의 주장은 거짓으로 드러났다.
올해 사균화된 탄저균 샘플이 한국에 반입됐을 때 페스트균 검사용 샘플이 함께 들어온 사실도 처음으로 공개됐다.
주한미군 오산기지 탄저균 배달사고와 관련해 한미 공동으로 구성된 ‘한미 합동실무단’은 17일 주한미군 용산기지에서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합동실무단에 따르면 주한미군은 2009년부터 지난해까지 용산기지에서 모두 15차례의 사균화된 탄저균 검사용 샘플을 반입해 분석하고 식별 장비의 성능을 시험했으며 교육훈련도 진행했다.
이들 실험은 용산기지의 한 병원 간이시설에서 이뤄졌으나 현재 이 시설은 폐쇄된 상태다.
미국 메릴랜드주 에지우드화생연구소에서 발송한 탄저균 샘플(1㎖)이 지난 4월29일 오산기지에 반입된 것까지 합하면 주한미군 기지에 탄저균 샘플이 배송된 것은 모두 16차례다.
앞서 주한미군사령부는 지난 5월 29일 보도자료를 통해 탄저균 표본 실험 훈련은 올해 오산기지에서 처음 진행됐으며 독극물과 병원균 식별 능력을 높이기 위한 것이었다고 밝힌 바 있다.
에지우드화생연구소가 지난 4월 사균화된 탄저균 샘플을 오산기지로 발송할 때 페스트균 샘플(1㎖)을 함께 보낸 사실도 드러났다.
페스트균 샘플이 반입된 것은 이번 합동실무단의 조사로 처음 밝혀진 것이다.
주한미군은 그동안 페스트균 샘플 반입 사실은 공개하지 않았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