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0 (목)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일하지 않는 것인가?… 일할 수 없는 것인가?

취업 빙하기 시대 맞은 일본, 잠재적 청년 무업자 480만명
대학 졸업하고 대기업 입사해도 일을 계속하는 건 장담못해
무업사회 탈피위해 사회경제적 환경과 실질 정책 지원 필요

 

얼마 전까지 한국 사회에서도 ‘일을 하고 있는 것’이 평범한 상황이라고 생각했지만, 2010년대 들어서며 일을 하는 것은 결코 평범하지 않은 상황이 됐다.

실제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2015년에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한국의 경우 ‘니트족’의 비중이 청년층(15~29살) 가운데 15.6%에 이르며 OECD 국가 중 3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993년 버블붕괴 이후 취업 빙하기 시대를 맞아 수많은 청년 무업자를 만들어낸 일본은 이미 우리나라 보다 앞서 ‘무업 사회’를 경험했으며 현재 잠재적 ‘청년 무업자’가 480만 명에 이르고 있다.

청년취업을 지원하는 소다테아게넷(길러내는 네트워크) 이사장인 구도 게이와 사회학자 니시다 료스케는 ‘누구나 무업 상태가 될 가능성이 높음에도 무업 상태에 처하게 되면 그로부터 빠져나오기가 힘든 사회’를 ‘무업 사회’라 정의하고 그 생생한 사례를 한권의 책에 담았다.

통계적으로 보면 무업 상태가 되기 쉬운 청년은 ‘저소득, 저학력, 비정규’ 이력을 가진 청년이지만, 유명 대학을 졸업하고 대기업에 입사했다고 해도 ‘무업자’가 되는 길을 벗어날 수 있는 것은 아니라는 점에서 무업 사회의 무서움이 있다.

1부에서는 이미 도래한 ‘무업 사회’에서 유령과 같은 존재로 살아가고 있는 ‘청년 무업자’의 실태와 그 해결책을 제시한다.

저자들의 논지는 명확하다. 고도 성장기에 구축된 ‘일본형 시스템’과 ‘사회 안전망’의 부실이 변화된 노동조건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해 대책 없이 ‘청년 무업자’를 양산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대로 방치할 경우 일본 사회의 지속가능성까지도 위협받게 된다는 암울한 미래를 전망하고 있다.

따라서 ‘무업 사회’와 ‘청년 무업자’에 대한 실질적인 정책 지원과 대책 마련이 시급히 필요하다고 촉구한다.

그러나 ‘청년 무업자’는 게으르다는 식의 부정적 인식과 잘못된 오해, 무업자들이 서 있는 사회경제적 환경과 구조에 대한 무지가 문제 해결을 방해하고 있는 주요한 원인이라고 지적한다.

2부는 ‘일하지 않는 것인가?’, ‘일할 수 없는 것인가?’라는 의문 속에 감춰진 ‘청년 무업자’ 당사자들의 이야기이다. 6명의 ‘청년 무업자’가 무업 상태를 벗어나기 위해 분투해 온 과정을 인터뷰 형식의 글로 구성해 누구나 무업자가 될 수 있는 ‘무업 사회’의 냉혹한 진리를 담담히 웅변하고 있다.

중학교 때 왕따를 당해 등교를 거부하고 ‘히키코모리’ 생활을 하다 현재는 가전제품 매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청년, 대학 중퇴 이후 15년간 집에만 틀어박혀 지내다 현재 청소 회사의 현장 책임자로 일하고 있는 청년 등 6명의 인터뷰는 ‘무업 사회’를 살아가는 우리 모두의 모습이기도 하다. 이 책은 일본과 동일하게 ‘무업 사회’로 접어든 한국 사회의 이면을 살펴보는 데 더할 수 없는

참고 자료가 된다.

/민경화기자 mkh@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