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은 즉각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소집, 주재해 빈틈없는 안보태세와 대응방안 마련을 지시했고, 우리 정부는 “북한이 상응하는 대가를 치르도록 하겠다”며 강력 대응 방침을 천명했다.
북한은 이날 조선중앙TV를 통해 “조선노동당의 전략적 결심에 따라 주체105(2016)년 1월6일 10시 주체조선의 첫 수소탄 시험이 성공적으로 진행됐다”며 “우리의 지혜, 우리의 기술, 우리의 힘에 100% 의거한 이번 시험을 통해 우리는 새롭게 개발된 시험용 수소탄의 기술적 제원들이 정확하다는 것을 완전히 확증하였으며 소형화된 수소탄의 위력을 과학적으로 해명했다”고 보도했다.
이어 “방대한 각종 핵살인무기로 우리 공화국을 호시탐탐 노리고 있는 침략의 원흉 미국과 맞서고 있는 우리 공화국이 정의의 수소탄을 틀어쥔 것은 주권국가의 합법적인 자위적 권리이며 그 누구도 시비할 수 없는 정정당당한 조치로 된다”면서 “우리의 정의로운 핵억제력을 질량적으로 부단히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박근혜 대통령은 이날 직접 주재한 NSC에서 “우리는 이러한 상황을 엄중히 인식하고, 강력한 국제적 대북제재 조치 등을 통해 단호히 대처해야 한다”며 “정부는 국제사회와 긴밀한 협력 하에 북한이 이번 핵실험에 대해 반드시 상응하는 대가를 치르도록 해야 한다”면서 빈틈없는 안보태세를 주문했다.
NSC에는 황교안 국무총리와 윤병세 외교부 장관, 한민구 국방부 장관, 홍용표 통일부 장관, 정종섭 행자부 장관, 이병호 국가정보원장, 김관진 국가안보실장, 이병기 비서실장, 김규현 외교안보수석 등이 참석했다.
우리 정부는 북한이 ‘수소탄 실험’이라고 발표한 이번 4차 핵실험을 엄중히 받아들이고 강력히 대응할 방침이다.
조태용 청와대 국가안보실 1차장은 정부 성명을 통해 “정부는 북한이 우리와 국제사회의 거듭된 경고를 무시하고 유엔 안보리 결의를 명백히 위반하고 4차 핵실험을 강행한데 대해 강력히 규탄한다”면서 “이미 경고한대로 북한이 핵실험에 대해 상응하는 대가를 치르도록 동맹국 및 6자회담 참가국을 포함한 국제사회와 긴밀히 협력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차원의 추가제재 조치를 포함해 모든 필요한 조치를 취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유엔 안보리는 6일 오전(현지시간) 북한의 핵실험과 관련한 긴급 회동해 북한의 4차 핵실험과 관련해 추가 대북제재 논의에 착수할 예정이다.
북한은 1, 2, 3차 핵실험에 따라 제1718호, 1874호, 2094호 등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와 이를 바탕으로 한 다양한 양자제재 등 이중, 삼중의 제재를 받고 있다.
지난해 ‘8·25 합의’로 조성됐던 남북간 대화 분위기는 군사적 긴장 고조로 대체될 가능성이 크다. 또 최근 관계회복을 모색하던 북중관계도 다시 경색되는 등 한반도 정세는 급속히 얼어붙을 전망이다.
북한이 유엔 안보리의 추가 제재에 반발해 장거리 로켓 발사나 추가 핵실험 등을 단행할 가능성도 있다.
북한은 이전과 달리 이번 핵실험 사실을 미국과 중국에 통보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과거 1~3차 핵실험과 달리 아무런 예고도 없이 기습적으로 단행한 북한의 이번 수소탄 핵실험 발표는 이날 오전 10시30분쯤 양강도 백암군 인근에서 지진이 감지된 지 2시간 만에 나왔다.
한편, 북한이 감행한 4차 핵실험의 폭발력은 인공지진의 규모로 추산하면 4.8로 3차 핵실험의 4.9 때보다 작아진 것으로 평가됐다.
/임춘원·이상훈기자 l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