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은 15일 일정을 비우고 다음날 오전 10시 예정된 국회 연설 준비에 몰두했다.
박 대통령의 국회연설은 북한의 4차 핵실험 및 장거리 미사일 발사 등 안보위기 상황에서 국민의 단합과 여야의 초당적 협력을 이끌어내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특히 개성공단 가동 전면중단 등의 조치를 취할 수밖에 없었던 배경을 설명하면서 국민 이해를 구하는 데 진력할 것이라는 관측이다.
이를 통해 안보ㆍ경제의 ‘복합위기’ 국면에서 국민이 힘을 모아 뒷받침해달라고 방점을 찍을 것으로 전망된다.
박 대통령은 북한의 핵실험 이후 가진 지난달 13일 대국민담화 및 기자회견에서도 ‘국민의 힘’을 궁극적인 돌파구로 내세운 바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북한 김정은 체제가 핵개발의 길을 계속 걸어갈 것이라는 현실을 국민이 체감할 수 있도록 하면서, 이를 막기 위해 국민 전체가 단합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측면에서 박 대통령의 이번 연설은 새로운 대북 제안 등을 내세우기보다는 현실화된 북한의 핵위협을 최대한 설명하면서 국민의 이해와 협조를 구하는데 초점이 맞춰질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박 대통령은 북한의 4차 핵실험 이후 북한의 도발을 묵과하고 넘어간다면 장기적으로 북한이 실전에 사용할 수 있는 핵무기를 대량 개발해 실질적인 위협으로 다가올 것이라는 인식을 내비쳐왔다.
그러면서 박 대통령은 정부가 추진 중인 강력하고 실효적인 유엔 안보리 결의와 개성공단 전면 중단 등의 독자 제재 방침의 불가피성을 설명하고, 국민의 이해와 정치권의 초당적인 협조를 요청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연설은 국회에서 국회의원들을 앞에 두고 연설을 하는 형식이지만, 실질적으로 국민을 상대로 직접 메시지를 전달하게 된다./연합뉴스